스타 CEO일수록 마시멜로를 참아야 한다   

2013. 1. 14. 09:00
반응형


2013년 1월 4일부터 1월 13일까지 페이스북에 올린 짧은 생각들 혹은 비망록.



[회사 운영에 대하여]


- 마시멜로를 먹지 않고 참을 수 있는 능력, 이 능력이 CEO에게도 필요하다. 특히 스타로 떠오른 CEO일수록. 그들은 빨리 무언가를 보여주고 싶은 욕망에 휩싸여 위험한 결정을 감행한다. 자기 자신에게 마시멜로 같은 보상을 즉각 주려고 한다. 대개 그런 결정은 실패로 막을 내린다.

(이와 관련하여 이 블로그에 쓴 글 : '자신만만한 CEO의 결정을 의심하라' )



- 뛰어난 전략가는 '어떻게 이길까?'를 생각하는 것보다 '다음엔 어떻게 될까?'를 더 많이 생각한다.


- 가격 인하의 함정. 가격을 내리면 고객들이 우리 제품을 많이 살까? 일정 기간 수요가 늘어난다. 하지만 경쟁자가 가격 인하에 가세하면 매출과 이익은 정체하거나 떨어진다. 더욱 큰 문제는 이런 가격 인하의 경쟁이 가열되면 고객은 가격이 더 인하되길 기다리면서 구매를 미룬다는 것이다. 어쩔 수없이 고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다시 가격을 인하해야 하는 악순환에 빠진다.


- 업무에 대한 의사결정은 상사가 하는 것이 아니라 그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이 해야 한다. 그 업무를 가장 잘 아는 사람은 바로 그 직원이기 때문이다.


- 경영자들은 직원들이 자신과 같은 관점으로 사물을 보지 않는다는 점, 그리고 직원들을 자신과 같은 관점으로 사물을 보게 만들기가 매우 어렵다는 점을 깨달아야 한다. 경영자의 기본 덕목이다.





[조직과 개인의 변화에 대하여]


- "너는 이게 문제야. 그러니 이렇게 고쳐야 돼"라는 식의 조치는 변화를 일으키지 못한다. 문제의 이면에 어떤 가정과 전제가 숨어있는지 발견해야 변화가 가능해진다.


- 교육을 통해 직원들이 변할 수 있다고 믿는 낙관주의와, 교육해 봤자 직원들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고 믿는 비관주의가 거의 모든 기업에 공존하고 있다. 무엇이 옳은가?


- 막연히 원하는 마음과 진심으로 간절히 원하는 마음 사이에는 커다란 갭이 존재한다. 하지민 진심으로 간절히 원하는 마음과 실제적인 작은 행동 사이에는 그보다 엄청나게 큰 갭이 존재한다.


- 상사와 직원들 간의 불화는 상사가 보상이나 벌, 칭찬이나 꾸중을 통해 직원의 행동을 원하는 대로 통제할 수 있다는 생각, 그리고 그렇게 통제해야만 한다는 생각에서 대부분 기인한다.


- 경영에서 감정은 이성보다 훨씬 중요하다. 중요도를 수치로 따지면 1억 대 1 정도다. 직원들을 논리로 이기려 하지 말고 감정으로 움직이게 해야 한다.


- 피드백해주는 사람은 "피드백 받는 사람이 내 피드백을 듣고 개선하겠지? 날 고마워 할거야."라고 생각하지만, 정작 피드백 받는 사람은 "당신이 나에 대해 뭘 안다고 그런 말 하는 건가?"라고 생각한다.


- 프랭클린 플래너를 보면 시간 낭비에 대한 사람들의 두려운 심리와 테일러리즘이 복합적으로 결합된 결정체라는 생각이 든다.


- 낙관주의의 위험한 측면. 다가올 도전을 과소평가하고 다른 이에게 도움을 덜 청한다. 그래서 나중에 뭔가 차질이 생기면 당황하기 쉽고 끝내 목표를 포기하기 쉽다.



[보상에 대하여]


- 직원이 금년에 연봉이 10퍼센트 인상되길 바라는데 그보다 적게 인상되면, 올라간 연봉은 보상이 아니라 오히려 벌칙으로 직원에게 인식된다. 이럴 경우 직원은 일을 대충하거나 이직하려 한다. 그렇게 회사에 벌을 줌으로써 못 받은 연봉에 대하여 보상 받으려 한다.


- 성과급은 보상이 아니다. 재미있는 일 자체가 보상이다.


- 직원들끼리 경쟁 시키면 회사가 나아질 거란 생각은 정말 견고하다. 도처에서 이런 논리로 무장한 경영자들을 만난다.



[비올라 같은 삶에 대하여]


- 누군가 말한다. "내 삶은 비올라 같아. 내가 높은 현을 울리면 사람들은 날 바이올린인 줄 알고 낮은 현을 켜면 첼로인 줄 알지. 그들은 내가 비올라라는 걸 알고 조소 띤 얼굴로 돌아서곤 해."


- 누군가 다시 말한다. "비올라 같은 삶은 평균적 인생이라고 애써 말하지 마. 높은 음자리는 바이올린이 맡고 낮은 음자리는 첼로가 맡으면 그걸로 끝이거든. 비올라만을 위한 음자리표 따위는 없어."


- 누군가 마지막으로 말한다. "바이올린으로 오해 받기 싫어서 높은 현을 끊어 버렸어. 첼로라 오해 받기 싫어서 낮은 현도 끊어 버렸지. 결국 내 몸통엔 현이 하나도 남지 않았어. 현이 없는 비올라에게 연주를 허락할 청중은 없잖아?"



[기타]


- 우리가 내세우는 논리의 대부분은 무의식적으로 도달한 결론을 정당화하는 데 쓰인다.


- "나, 이런 일이나 해볼까?"라고 말하는 사람 중에 진짜로 그런 일에 도전해서 성공할 사람은 거의 없다.


- 내가 내 생각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라, 내 생각이 나를 만들어낸다.



반응형

  
,

스타트업 기업가로 성공하기 위한 성격은 없다   

2013. 1. 9. 10:30
반응형



자기 사업을 시작하는 기업가들의 성격적 특성은 어떨 거라고 생각합니까? 우리는 보통 성공하는 스타트업 기업가가 되기 위해서 어떨 때는 무례할 정도로 저돌적이어야 하고 타협할 줄 모르는 고집스러움을 갖춰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텔의 CEO였던 앤디 그로브의 말처럼 '편집증적'이어야 한다는 생각하죠. 만일 이런 성향이 부족한 스타트업 기업가를 만나면 과연 그가 성공할 수 있을까 의구심을 갖습니다.


그러나 2009년부터 계속해서 스타트업 기업가들의 성격적 특성을 연구해 온 리스 액타르(Reece Akhtar)와 동료 연구자들은 그런 '어두운 측면'의 기질이 과연 성공의 기본 조건인지 의심합니다. 최근 액타르는 온라인 서베이를 통해 총 435명의 개인을 조사한 결과를 내놓았습니다. 





액타르는 META라고 불리는 도구를 써서 개인들의 기업가적 성향이 어느 정도인지 측정하고 그들이 얼마나 기업가적인 행동에 관여하고 있는지 조사했습니다. 아이디어를 다른 이에게 설득하는 능력과 제품(또는 서비스)을 창조해내는 능력 뿐만 아니라 혁신성, 가치 창조 능력, 기회 창출 능력 등을 포괄하여 조사가 이루어졌죠. 이와 더불어 개인들은 나르시시즘, 속임수를 쓰는 성향, 타인에 대한 낮은 공감능력 등 1차 정신적 특성이 어느 정도인지 측정 받았습니다. 또한 충동적인 성향, 반사회적인 행동 성향과 같은 2차 정신적 특성도 역시 측정 받았죠.


액타르가 이런 조사를 한 이유는 기업가적 성향과 정신병적인 성향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지 규명하기 위함이었습니다. 분석 결과, 2차 정신적 특성(충동 성향, 반사회적인 성향 등)은 기업가적 성향과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충동과 반사회적 행동은 기업가의 성공에 방해가 되면 됐지 도움을 주지는 못하죠. 반면, 나르시시즘, 속임수 성향, 낮은 공감능력과 같은 1차 정신적 특성은 기업가적 성향과 약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기업가로서의 성공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이 연구는 기업가가 되려면 나르시시즘적인 성격, 저돌적이며 고집스러운 특성, 타인을 조종하는 마키아벨리즘적인 능력 등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는 우리의 고정관념에 강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물론 그런 '어두운 특성'이 기업가 몇 명에게서 나타날 수는 있지만 그것이 성공적인 스타트업 기업가로서 성공하기 위한 조건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무엇이 스타트업 기업가의 성공을 보장하는 조건인지에 대해 여기저기에서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합니다. 그런 것들이 맞을 수도 있지만, 적어도 '어두운 측면'의 성격이 성공요소라는 말은 옳지 않아 보입니다. 스타트업 기업가로 성공하기 위한 특별한 성격적 특성은 따로 없습니다. 지금 스타트업을 계획하거나 시작한 분들은 어떻게 생각합니까?



(*참고논문)

Akhtar, R., Ahmetoglu, G., & Chamorro-Premuzic, T.(2013), Greed is good?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subclinical psychopath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 54 (3)


반응형

  
,

가장 스트레스가 적은 직업, Top 10   

2013. 1. 8. 09:55
반응형


미국의 온라인 구직 사이트인 CareerCast.com는 미국에서 가장 스트레스가 덜한 직업과 가장 스트레스가 심한 직업을 각각 10개씩 선정해 발표했습니다. 가장 스트레스가 적은 직업은 대학 교수고, 가장 스트레스가 극심한 직업은 군인(사병)이군요. 각각 다음과 같습니다. (오른쪽의 금액은 연봉의 중간값입니다).



가장 스트레스가 적은 직업, Top 10


1. 대학교수 : 6만 2천 달러

2. 재단사 : 2만 6천 달러


3. 의료 기록 기술자 : 3만 2천 달러

4. 보석세공사 : 3만 5천 달러


5. 의료 실험 기술자 : 4만 7천 달러

6. 청각학자(청력학자) : 6만 7천 달러


7. 영양사 : 5만 3천 달러

8. 미용사(헤어 스타일리스트) : 2만 3천 달러


9. 도서관 사서 : 5만 5천 달러

10. 드릴 프레스 기술자 : 3만 2천 달러



사진 출처 : CareerCast.com




가장 스트레스가 심한 직업, Top 10


1. 장교나 부사관이 아닌 사병 : 4만 2천 달러

2. 군 장성 : 19만 6천 달러


3. 소방관 : 4만 5천 달러

4. 민간 항공 조종사 : 9만 2천 달러


5. 홍보 담당 임원 : 5만 8천 달러

6. 기업의 고위 임원 : 10만 1천 달러


7. 보도 사진가 : 2만 9천 달러

8. 신문 기자 : 3만 6천 달러


9. 택시 기사 : 2만 2천 달러

10. 경찰관 : 5만 5천 달러



물론 이 순위는 미국에서 나온 것이라서 우리나라의 경우도 이와 같다고 말할 수는 없겠죠. 다만 흥미로운 것은 스트레스가 적은 직업들은 대개 전문 영역의 Self-Employed적 성격의 일들이 많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돈을 많이 버는 직업(군 장성, 기업의 고위 임원 등)이라고 해서 스트레스가 적은 것은 아니라는 점이죠. 또한 사람을 많이 상대해야 하는 직업 역시 스트레스를 가중시킨다는 경향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이 조사 결과를 통해 자기 스스로 일을 통제할 수 있는지의 여부, 즉 '통제감'의 여부가 스트레스의 많고 적음에 영향을 미친다고 짐작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의 직업에서 얼마나 스트레스를 느낍니까? 그 스트레스의 원인이 무엇에서 오는 것 같습니까?



(*참고 사이트)

http://www.careercast.com/jobs-rated/10-least-stressful-jobs-2013



반응형

  
,

잘나가는 사람과 안면을 트면 좋을까?   

2013. 1. 4. 17:12
반응형


(*글이 삭제되어 복구하느라 댓글이 사라졌습니다. 죄송합니다.)


2012년 12월 7일부터 2013년 1월 3일까지 페이스북에 남긴 짧은 생각들 모음


[인맥관리에 대하여]


- 잘나가는 사람과 안면을 트면 도움이 되리라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잘나가는 그 사람은 당신에게 뭔가 줄 것이 있지만, 당신은 그에게 줄 것이 별로 없다. 이런 '기여의 불균형' 때문에 그 사람은 당신을 만날 이유가 적다. 냉정하지만 현실.


- 대부분의 인맥쌓기용 모임은 무용하다. 타겟이 없는 네트워킹은 의미 없다.



2013년엔 이렇게 웃자!



[신년계획에 관하여]


- 신년계획 중 가장 빈도가 많은 것은 1위 체중감량, 2위 운동하기, 3위 금연하기. 하지만 체중감량은 98%가 실패, 운동하기는 90%가 실패, 금연하기는 95%가 실패한다. 매년 1~3위에 오른다는 말은 그만큼 실패확률이 크기 때문이 아닐까?


- 신년계획이 작심삼일이 되지 않도록 하려면?

http://feedproxy.google.com/~r/PsychologyBlog/~3/ft3JgSCZyQI/10-step-guide-for-making-your-new-years-resolution.php



[주목할 만한 연구 결과]


- 휴가나 플렉스타임(탄력근무제)는 직원들의 웰빙과 그다지 관련성이 높지 않다는. 얼마나 일에 몰입해 있느냐가 직원들의 웰빙을 결정한다는.

 http://feeds.inc.com/~r/home/updates/~3/QahWoLngZZc/story01.htm


- 직장에서 낮잠 자는 시간이 꼭 있어야 하는 이유. 

http://stress.about.com/od/lowstresslifestyle/a/powernap.htm


- 직장 내에서 뒷담화는 조직에게 오히려 도움이 된다는. 

http://www.forbes.com/sites/susanadams/2012/12/19/why-gossip-is-good-for-the-office/


- 초조하고 근심이 깊을 때는 어떤 조언이 좋은 조언인지 나쁜 조언인지 구분하는 능력이 떨어진다는. 그래서 그럴 땐 감정이 가라앉을 때까지 결정을 미루라는. 

http://feeds.inc.com/~r/home/updates/~3/WufPoWj8Jho/story01.htm


- 현금보다 상품권이 좋은 이유. 상품권을 사용하면 자신을 위해 돈을 쓴다는 죄책감이 현금을 쓸 때보다 옅어지기 때문.

http://thesituationist.wordpress.com/2012/12/23/why-a-gift-card-may-be-better-than-cash/


- 권위적인 부모에게서 자란 아이들은 보수적 성향이 강하다는. 

http://m.psychologytoday.com/blog/ulterior-motives/201212/who-grows-be-conservative-or-liberal



[그것은 그런 사람만이 그렇게 한다]


- 통합은 통합의 중심에 서게 될 사람만이 원한다.


- 평가는 평가를 잘 받은 사람만 만족한다.


- 경쟁은 경쟁을 시키는 사람만 좋아한다.



[나의 레알 사전?]


- 긍정적으로 생각하란 말은 부조리나 불만이 있어도 참으라는 용도로 쓰인다. - 나의 레알 사전


- 업무시스템이란, 업무를 경감해주기는커녕 옛날엔 하지 않았던 일(그래도 회사는 잘 돌아가던)을 하게 만들어서 할일을 더 많게 해주는 것 - 나의 레알 사전


- 한낮의 지하철 2호선, 고령화가 피부로 느껴지는 곳 - 나의 레알 사전


- 연속되는 회의. 따지고 보면 아무것도 이룬 것이 없는데도 열심히 일했다고 착각하게 만드는 것 - 나의 레알 사전



[기타]


- "평범한 사람은 말하고, 훌륭한 사람은 설명한다. 뛰어난 사람은 실천으로 보여주고, 위대한 사람은 다른 사람들이 스스로 볼 수 있도록 영감을 준다"...by Harvey Mackay


- "결심의 진정성은 행동에 의해 측정된다. 행동이 없다면 당신은 진정으로 결심하지 않은 것이다.".....by 토니 로빈스


- 실수를 제로(zero)화하려고 애쓰는 기업은 혁신적인 기업이 절대 될 수 없다.


- 의사결정하는 건 어려워도 의사결정된 결과에 불평하기는 쉽다.


- 사람은 자원이 아니다. 사람은 사람 그 자체다.


- 별로 중요하지 않은 사안을 중요하게 느끼도록 만들려면, 그 사안에 해당하는 정보 1~2개가 불확실하다고 말하면 된다. 사람들은 불확실한 정보가 있다고 말하면 그 사안을 중요하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다.


- 나이가 들면 새로운 것, 특히 IT와 관련한 것을 배우기가 어렵다고들 한다. 그 이유는 저하된 지력 때문이 아니다. 부딪히며 배우려는 의지력이 떨어진 탓이다.

아이들은 매뉴얼 없어도 사용법을 금세 익히는 것은 '그냥 막 해보려는' 용기 때문이다.


반응형

  
,

스마트폰을 내려놓고 자연에 몸을 맡기자   

2013. 1. 3. 09:56
반응형


여러분은 하루에 인터넷을 얼마나 사용합니까? 얼마나 오랫동안 아이패드나 스마트폰을 들여다 봅니까? 캔사스 주립대의 심리학자 루스 애칠리(Ruth Ann Atchley)와 동료들의 실험은 창의력이나 문제해결력을 위해서는 그런 통신기기를 내려놓고 운동화 끈을 매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애칠리는 전자통신기기에서 벗어나 자연을 즐기면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이 50퍼센트 증가한다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애칠리는 알라스카, 콜로라도, 메인, 워싱톤 등에서 4~6일 동안 하이킹을 즐기는 사람들을 56명을 대상으로 인지능력을 평가하는 간단한 테스트를 해보고 그런 결론을 내렸죠.





애칠리가 사용한 테스트는 심리학 실험에서 널리 쓰이는 Remote Associates Test(RAT)라는 일종의 연상 게임인데, 세 개의 단어를 제시하고 단어들을 묶을 수 있는 공통의 단어를 생각해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SAME, TENNIS, HEAD라면 MATCH라는 단어를 답으로 제시해야 하죠(영어권이 아닌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는 좀 어려울 수 있는 게임입니다).


애칠리는 참가자들 절반에게는 하이킹을 떠나는 날 아침에 RAT 문제 10개를 풀도록 하고, 나머지 참가자들에게는 하이킹 4일 째 아침(즉 3일간 자연을 즐긴 후)에 역시 RAT 문제 10개를 풀도록 했습니다. 참가자들이 얼마나 많이 맞혔는지 측정하자 하이킹을 떠나기 전의 참가자들은 평균 4.14개의 문제를 맞힌 반면, 하이킹을 3일 동안 즐긴 참가자들은 평균 6.08개의 문제를 맞혔습니다. 전자통신기기에서 벗어나 자연에 충분히 노출된 약 50퍼센트의 인지능력 향상이 일어났던 것입니다.


물론 애칠리의 실험은 인지능력을 향상시킨 결정적인 원인이 무엇인지를 밝히지는 못했습니다. 자연과의 교감이 원인인지, 전자통신기기와의 결별이 원인인지, 아니면 둘 다 원인인지 분명하지 않죠. 하지만 문명의 이기로부터 벗어나 자연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이 인지능력의 향상과 어느 정도 연관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는 (아마도 실험을 벗어나 야외에서 처음 시도된) 실험이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습니다. 


2013년 새해에는 자연과 교감하는 시간을 많이 가지기 바랍니다. 스마트폰을 들여다 본다고 스마트해지지 않습니다. 스마트해지려면 자연과 교감하세요.



(*참고논문)

Ruth Ann Atchley, David L. Strayer(2012), Paul AtchleyCreativity in the Wild: Improving Creative Reasoning through Immersion in Natural Settings, PLOS One, Vol. 7(12)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