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스널 브랜드'를 만들 때 주의할 점   

2023. 5. 25. 08:00
반응형


퍼스널 브랜드를 구축하는 일은 많은 사람들로부터 주목 받고 적절한 기회를 얻기 위해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너무나 다양한 조언들이 난무하는 바람에 정확히 어떻게 개인 브랜드를 구축해야 하는지 헷갈릴 때가 많죠. 상충되는 조언들도 사실 많구요. 개인 브랜드를 구축할 때 범할 수 있는 일반적인 실수와 그걸 교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오늘은 알아보겠습니다.

 



1. 너무 많은 사람들을 타겟으로 한다: 팬층을 너무 넓게 가져가지 마세요. 목표고객이 분명할수록 비즈니스가 번창할 수 있듯 개인 브랜드도 그렇습니다. 선택을 한다는 것은 버리는 것이 있다는 뜻입니다. 집중력을 희석시키지 말기 바랍니다.


2. 자격증에 지나치게 집중한다: 개인 브랜드 구축시에 학력이나 자격증 등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는데요, 목표고객과 공감하는 게 더 중요하다. 전문용어가 가득한 게시물이나 동영상 대신, 유용하고 간단한 컨텐츠로 다가가고 목표고객과 신뢰를 쌓으세요. 신뢰가 가장 귀한 자격증이거든요.


3. 경쟁자를 의식한다: 개인 브랜드는 다른 브랜드와 경쟁할 필요가 없어요. 경쟁자를 깎아내리기보다 고객에게 진정한 가치를 주는 데 주력하세요. 그러기에도 시간이 부족하니까요.

4. 내가 어떤 친구들을 만나는지 간과한다: 사람들은 여러분이 누구와 어울리는지를 보고 여러분을 판단하곤 합니다. 이런 경향을 유리하게 이용하세요. 영감을 주는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존경하고 모방하고 싶은 사람들을 찾아 교류하기 바랍니다.

5. 스토리를 무시한다: 사람들은 여러분의 스토리를 듣고 싶어합니다. 여러분의 바람, 사업을 시작한 방법, 열정과 팁을 알고 싶어하죠. 자신의 스토리를 필히 구상하고 기회가 있을 때마다 알리세요.

6. 집중적이고 일관된 메시지가 부족하다: 브랜드가 되려면 많은 사람들이 내는 소음 속을 뚫고 지나가야 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늘 분명하고 일관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죠. 위에서 말했듯이 모든 사람들에게 모든 것이 될 필요는 없습니다. 여러분의 메시지에 귀기울이는 사람들에게만 집중하면 됩니다.

7. 자신의 직업과 반대로 행동한다: 직업과 반대되는 메시지를 전하는 실수를 범하지 마세요. 피트니스 트레이너라는 직업이라면, 개인 SNS에 건강에 좋지 않은 음식을 올려서는 안되겠죠?

8. 재미있는 요소를 멀리한다: 모험적 취미, 개인사 등 자신의 새로운 면, 재미있는 삶의 일화를 공유하면 개인 브랜드가 강화된다고 합니다. 적절하고 고급스러운 유머를 구사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참고사이트 : 
https://www.forbes.com/sites/theyec/2021/01/21/nine-common-mistakes-people-make-when-building-their-personal-brand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뉴미디어의 시대, '나'를 브랜드화하다    https://infuture.kr/789


'유정식의 경영일기' 구독하기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19688

 

<유정식의 경영일기>를 구독하세요

- '유정식의 경영일기' 구독은 무료입니다. - 2023년 1월 2일부터 매일 오전 8시에 발행됩니다.

page.stibee.com

 

반응형

  
,

남의 비판을 기분나쁘지 않게 받아들이는 방법   

2023. 5. 24. 08:00
반응형


직장생활을 하다보면 다른 사람의 비판을 받을 때가 종종 있습니다. 상사나 동료, 직원들이 하는 비판을 잘 받아들이는 것이 자기 성장에 도움이 된다는 말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겁니다. 도움이 되는 비판이라 해도 막상 그런 소리를 듣는 순간엔 나쁜 감정에 휩싸이고 마니까요. 분노나 좌절 때문에 비판의 내용이 제대로 귀에 들어오지 않습니다. 경우에 따라 상대방의 가벼운 비판만으로 일할 의욕을 상실하기도 하죠.

 


비판을 잘 받아들이는 방법, 부정적인 감정 상태가 되지 않고서도 비판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적어도 비판을 듣고서 기분이 나빠지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타인의 의견이 반드시 옳은 것은 아니라는 점을 기억한다
맞습니다. 상대방도 인간이고 '나'도 인간입니다. 각자 자신의 관점에서, 자신의 배경지식과 문화를 기초로 상대방에게 의견을 전달하는 것입니다. 나를 가장 잘 아는 사람은 자기 자신일 때가 많다는 점을 떠올리세요. 그러니까 상대방의 비판을 들으며 '이것은 수용한다. 하지만 저것은 기각한다'는 마음가짐을 가지라는 뜻입니다. '뭐, 당신은 그렇게 생각할 수 있겠네.'라고 웃어 넘기면 되는 것이죠. 물론 연습이 필요합니다.

2. 하지만 '나 자신'도 반드시 옳은 것은 아니라는 점도 명심한다
자기 자신을 바라보는 자신의 관점 역시 옳지 않을 수가 있어요. 내가 틀릴 수 있다는 것을 떠올리면서 상대방의 비판을 듣거나 나중에 곱씹어 보면 비판이 가하는 통증이 가라앉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의견을 조금은 수용하게 되죠. 부정적인 감정이 상당히 빠져나간 상태에서 말이죠. '열린 마음'은 자신이 틀릴 수 있음을 인정하는 것에서 나온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3. 모두를 만족시킬 수 없다는 점, 만족시켜서도 안 된다는 점을 떠올린다
모두를 만족시키면 신이지 인간이겠습니까? 모두를 만족시키려고 한다면 정작 아무일도 하지 못할 것이고 좌절감에 무너지고 맙니다. 어떤 일을 할 때 여러분이 무언가를 목표로 삼았다면 그건 다른 목표를 버렸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상대방의 비판이 '버려진 목표'에 관한 것이라면 기분 나빠할 필요가 없습니다.

4. 더 나아지는 기회로 삼는다
상대방이 인신공격을 하지 않는 한, 비판을 한다는 것은 크건 작건 나에 대한 애정이 있어서입니다. 나에게 호의가 있다고 간주하세요. 그리고 어차피 인간은 불완전합니다. 비판을 거름삼아 더 나아지면 되는 거죠. 아니, 더 나아지지 않아도 됩니다. 그 비판을 수용하지 않기로 했다면 말이죠. 더 나아질 테냐 아니냐를 주도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고 마음 먹으면 비판이 내게 상처를 남길 가능성이 크게 줄 겁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약점 지적의 대부분은 부당한 것    https://infuture.kr/745


'유정식의 경영일기' 구독하기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19688

 

<유정식의 경영일기>를 구독하세요

- '유정식의 경영일기' 구독은 무료입니다. - 2023년 1월 2일부터 매일 오전 8시에 발행됩니다.

page.stibee.com

 

반응형

  
,

최고의 직원 복지는 '커피(coffee)'   

2023. 5. 23. 08:00
반응형


하루에 커피를 몇 잔이나 마시나요? 저는 하루에 2잔 정도는 마시는 것 같은데요, 아마도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최소 한 잔 정도의 커피를 매일 마실 것 같습니다. 그것도 출근하자마자. 저도 그렇습니다. 아침에 커피를 마시지 않으면 하루를 시작하지 않은 것 같은 느낌이 들죠. 뜨거운 것이든 차가운 것이든, 커피는 사회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음료라는 점에 다들 동의할 겁니다. 커피를 즐기지 않는 분이라 해도 말이죠.

 


커피가 얼마나 중요한 음료인가를 알 수 있는 설문조사 결과가 있는데요, 음료 시스템 제조업체인 Flavia(플라비아)가 2,000여 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오늘 당신이 처음으로 마신 음료는 무엇입니까?"란 질문을 던졌습니다. 그랬더니 '뜨거운 커피'라고 대답한 사람이 무려 66%에 달했습니다. 아이스커피라고 답한 사람도 47%에 이르렀죠(다지선다형 설문이라 퍼센테이지를 합하면 100이 넘어간다는 점에 주의).

그리고 77%의 응답자들은 회사에서 생산성 있게 일하기 위해서는 2잔 이상의 커피가 필요하다고 답했고, 60%는 커피를 마시는 것이 기분전환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커피를 즐기는 분들이라면 모두가 이 말에 고개를 끄덕일 것 같네요.

흥미로운 점이 또 하나 있는데요, 응답자 중 거의 절반(46%)이 '무료 커피'가 회사에서 제공하는 가장 매력적인 특전이라고 답했습니다. 무료 음식이나 헬스클럽 이용, 휴게 시설보다 더 가치가 높다고 평가한 거죠. 지출비용 대비 효과를 감안한다면 무료 커피가 직원들의 회사만족도를 높이는 데 가장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직원들에게 좋은 커피를 무료로 제공한다면 어떨까요? 자질구레하고 비용만 많이 나가는 복리후생 프로그램보다 향긋한 커피를 계속 제공하는 좋은 커피 머신 1대가 더 낫지 않을까요? 직원 입장에서 하루를 시작하며 가장 간절하게 원하는 음료를 무료로 제공한다면(물론 맛있어야 하지만) 직원들이 커피숍에 가느라 지출하는 돈을 아낄 수 있을 테고, 왔다갔다 하는 시간도 줄일 수 있으니 생산성에 좋은 해법이 아닐까요? 최고의 직원 복지는 '커피'일지 모릅니다.

오늘 아침입니다. 모닝 커피와 함께 향긋하게 시작하기를 바랍니다.

* 참고사이트: https://www.fastcompany.com/90898573/remote-work-office-top-perks-free-coffee-flavia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커피 마셔도 잠만 잘 오는 이유는?    https://infuture.kr/1505

'유정식의 경영일기' 구독하기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19688

 

<유정식의 경영일기>를 구독하세요

- '유정식의 경영일기' 구독은 무료입니다. - 2023년 1월 2일부터 매일 오전 8시에 발행됩니다.

page.stibee.com

 

반응형

  
,

'심리적 안전감'을 배울 수 있는 영화 3편   

2023. 5. 22. 08:00
반응형


심리적 안전감이란, 심리학자 에이미 에드몬슨Amy Edmondson이 창안한 용어로서 대인관계에서 별다른 두려움을 느끼지 않고 타인에게 약한 모습(실패, 멍청한 대답 등)을 보인다 해도 괜찮다고 여기는 감정을 뜻합니다.

동료가 자신과 다른 의견을 제시할 때 ‘마음 놓고’ 반박하고, 경우에 따라 동료의 일을 중단시키고 자기 생각을 설득시키며, 동료들이 자신의 의견을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비판한다면 기꺼이 수용하고, 말단 직원과 고참 직원 모두가 동등한 발언 시간과 기회를 보장 받는 것이 바로 심리적 안전감입니다.

오늘은 이런 심리적 안전감의 의미를 쉽게 배울 수 있는 영화 3편을 소개합니다. 재미나게 보다보면 무엇이 심리적 안전감이고, 무엇이 심리적 안전감을 높일 수 있는지(반대로 낮추는지) 바로 이해가 될 겁니다.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2
1편보다는 2편이 '심리적 안전감' 측면에서 더 유용한 영화입니다. 1편도 보신 다음에 2편을 보셔도 무방합니다. 서로 티격태격하면서도 서로를 챙기며 팀워크를 발휘하는 능력의 기저에는 심리적 안전감이 탄탄하게 깔려 있는 걸 영화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지금 영화관에서 가오갤 3가 개봉 중이니 그것도 함께 보면 좋겠네요(저는 이미 봤습니다.)



보헤미안 랩소디 (2018)
유명 록 그룹 '퀸'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라 다들 한번(아니면 그 이상)쯤 보셨을 겁니다. 심리적 안전감 측면에서 다시 이 영화를 보세요. 자신의 의견이나 고집에 딴지를 걸며 잘못을 지적하고 때로는 서로 욕하며 싸움을 걸기까지 한 멤버들과 함께 있을 때가 음악적으로 성장하는 힘의 원천이었고 그것이 진정한 팀워크임을 알 수 있습니다.



위플래쉬 (2014)
이 영화는 심리적 안전감의 반대인 심리적 불안감의 극치를 보여줍니다. 음악에 몰입하며 보는 재미가 아주 크지만, 심리적 불안감에 빠진 주인공이 얼마나 극단으로 치달을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좀 무서운 영화입니다. 자유분방한 연주를 강조하는 재즈를 숨이 턱턱 막히는 통제와 처벌을 가하며 배우는 인물들이 아이러니하게 느껴집니다.



'유정식의 경영일기' 구독하기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19688

 

<유정식의 경영일기>를 구독하세요

- '유정식의 경영일기' 구독은 무료입니다. - 2023년 1월 2일부터 매일 오전 8시에 발행됩니다.

page.stibee.com

 

반응형

  
,

행복은 돈을 어디에 쓰는가로 결정된다   

2023. 5. 19. 08:00
반응형


'돈이 많을수록 행복할까?' 굉장히 자주 나오는 질문 중 하나인데요, 아마도 많은 분들은 '돈이 많을수록 행복하다. 하지만 어느 정도에 이르면 그 이상의 돈을 번다고 해도 더 행복해지지 않는다'라고 알고 있을 겁니다. 예전에 행동경제학자인 대니얼 카너먼이 수행한 유명한 실험으로 밝혀진 결과죠. 연간 약 7만 5천 달러(우리돈으로 약 8,000만원)이 그 지점이라고 카너먼은 말합니다. (연구 당시의 물가인 점을 감안하세요)

 


'무슨 소리냐! 돈이 많을수록 행복하다. 더 이상 행복이 늘지 않는 지점은 없다'라고 생각할지 모르겠는데요, 흥미롭게도 행복은 얼마나 많은 돈을 버느냐가 아니라, 돈을 어디에 쓰느냐에 달렸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에 나왔습니다. 이 연구를 한 문장으로 정리하면, 돈을 '물건'을 사는 데 쓰는 것보다 '경험'을 사는 데 쓰는 것이 행복을 증진시킨다는 것입니다.


올라야 몰데스(Olaya Moldes)가 주도한 이 연구에서 452명의 참가자들은 일상적인 비용을 제외하고 최근에 상당한 금액을 지출한 구매건을 적고 그 구매가 삶의 만족과 행복을 얼마나 더해주었는지, 외적 목표(타인이 자신에게 바라는 기대)와 내적 목표(자기 자신이 추구하는 것)에 얼마나 밀접하게 일치했는지 평가하도록 요청 받았어요.

분석해 보니, 본질적인 목표를 추구하는 데 돈을 쓸 때, 개인적으로 중요한 것에 돈을 쓸 때 웰빙이 높아진다는 점이 발견되었습니다. 바로 '경험'에 대한 소비가 웰빙 향상에 관련이 있었던 것이죠. 경험은 물건보다 더 큰 기쁨을 가져다 주고, 인생에서 진정으로 원하는 것에 한걸음 더 가까이 가도록 만들어 주기 때문입니다.

주로 물건(예: 자동차, 옷, 부동산, 장신구...)에 돈을 쓰는 것은 타인이 자신에게 바라는 기대, 즉 외적 목표를 충족시키기 위한 행동일지 모르는데요, 타인에게 깊은 인상이나 좋은 이미지를 주기 위한 소비는 실제로 그만한 가치가 없을 수 있다고 몰데스는 말합니다. 돈을 쓰기 전에 누구를 위한 것인지, 무엇을 원하는 것인지 생각해 보라고 몰데스는 권합니다.

돈이 많아도 물건 사는 데 집착하면 행복감은 잠깐 커졌다가 금세 사라집니다. '물욕'을 충족시킴으로써 얻는 행복감은 휘발성이 크죠. 하지만 돈이 없어도 경험을 사는 데 돈을 쓰면 그로 인한 행복감은 보다 오랫동안 지속됩니다. 사랑하는 사람과의 여행, 레져 활동, 학습 등에 돈을 썼던 경험을 떠올려 보세요. 아직까지 미소가 입가에 그려지지 않나요?

행복은 돈을 많이 버느냐가 아니라 어디에 쓰느냐에 달려 있음을 기억하기 바랍니다. (저도 이제 물욕을 좀 줄여야겠....)

* 참고논문: Moldes, O. (2023). Beyond experiential spending: Consumers report higher well‐being from purchases that satisfy intrinsic goals.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62(2), 883-897.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돈 많이 벌면, 많이 놀 수 있을까?    https://infuture.kr/1526

 

 

'유정식의 경영일기' 구독하기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19688

 

<유정식의 경영일기>를 구독하세요

- '유정식의 경영일기' 구독은 무료입니다. - 2023년 1월 2일부터 매일 오전 8시에 발행됩니다.

page.stibee.com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