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에 늦는 사람을 봐주지 말아야 하는 이유   

2023. 7. 20. 08:00
반응형


혹시 여러분의 조직에서는 회의에 몇 분 늦는 것쯤은 다들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분위기인가요? 10시에 하기로 했던 회의가 10시 10분에 시작되어도 충분히 이해할 만하고 회의 결과에는 별 영향을 받지 않으리라 생각합니까? 하지만 지각 참석자 때문에 다른 이들이 ‘아무것도 안 하고 그냥 흘려보낸’ 비생산적인 시간을 생각한다면, 회의 지각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보다 더 큰 문제가 있습니다. 조셉 앨런(Joseph A. Allen)은 지각이 회의에 대한 참석자들의 만족도를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회의 성과물의 질도 떨어뜨린다고 말합니다. 그는 78명의 학부생들을 6명씩 회의에 불러 놓고 대학의 교육 커리큘럼을 개선하기 위한 아이디어를 논의하도록 했습니다. 

앨런은 1명의 공모자를 고용하여 3가지의 실험 조건을 설정했는데요, 첫 번째는 공모자가 정시에 회의실에 도착하여 논의를 바로 시작하는 조건이었고, 두 번째는 공모자가 5분 지각하는 조건이었으며, 세 번째는 10분 늦게 회의실에 입실하는 조건이었습니다. 

예상한 바와 같이, 지각자가 아무도 없었던 첫 번째 조건일 때 회의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5점 만점의 3.3점), 지각자가 10분 늦게 도착했던 세 번째 조건일 때 만족도가 가장 낮았습니다(2.94점). 회의의 결과가 얼마나 효과적이었냐는 질문에도 동일한 패턴의 결과가 나왔죠.

앨런은 또다른 실험을 진행했는데요, 이번에는 270명의 참가자를 모집하여 회의에 누군가가 5분 지각하는 조건과 10분 지각하는 조건에 할당했습니다. 그랬더니 10분 지각자 그룹에 속한 참가자들의 소통에서 부정적인 면이 자주 발견되었어요. 

누군가의 말을 중간에서 자른다든지, ‘지금 네가 하는 소리가 뭔지 너도 모르지?’라며 무안을 준다든지, 서로 속삭이면서 비아냥거린다든지, 회의에 집중하지 않고 ‘지방 방송’ 틀어놓고 몇몇이서 떠든다든지 등의 행동이 10분 지각자 그룹에서 빈번하게 나타났습니다. 그렇다면 회의의 결과물은 어땠을까요? 아이디어의 양, 아이디어의 질, 아이디어의 실현가능성을 측정하자 10분 지각자 그룹의 수준이 제일 낮았습니다.
  
우리가 회의를 잘하기 위한 여러 가지 룰을 준수하려 애쓰더라도 지각자가 한두 명 생기면 와르르 무너져 버립니다. 회의 주최자는 지각하는 사람이 없도록 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그리고 회의 시작 시간이 됐는데도 오지 않은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 없이 바로 회의에 돌입해야 합니다. 그가 CEO이더라도 말입니다. 회의 문화 정착에 고위직이 예외여서는 안 되니까요.

* 참고논문
Allen, J. A., Lehmann-Willenbrock, N., & Rogelberg, S. G. (2018). Let's get this meeting started: Meeting lateness and actual meeting outcom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39(8), 1008-1021.


[함께 읽으면 좋은 글]
회의할 때 지켜야 할 3가지 원칙   https://infuture.kr/1509


'유정식의 경영일기' 구독하기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19688

 

<유정식의 경영일기>를 구독하세요

- '유정식의 경영일기' 구독은 무료입니다. - 2023년 1월 2일부터 매일 오전 8시에 발행됩니다.

page.stibee.com

 

반응형

  
,

번-아웃의 원인과 퇴치법   

2023. 7. 19. 08:00
반응형


세계 보건 기구는 ‘피로감’을 질병의 국제 분류에 포함시켰지만, 직장 내 스트레스에 대해서는 많은 이들이 그만큼 신경을 쓰고 있지는 않습니다. 갤럽(Gallup)은 7,500명의 정규직 직원들을 조사하여 그 중 44%가 때때로 번-아웃을 경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번-아웃의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유와 자율성 부족,   과중한 업무량과 촉박한 일정
-리더 및 동료의 지원 부족,  불공평한 대우
-개인의 가치와 회사가 추구하는 바의 불일치, 리더의 인정 및 감사 부족

직원들이 단순히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지 아니면 번-아웃 상태인지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요? 다음의 질문을 던져보기 바랍니다.

-출근할 때 어딘가로 끌려가는 것 같고, 사무실에 도착해서도
  일을 시작하기 상당히 어렵습니까?
-집중하기가 어렵습니까?
-성취한 것에 대해 별로 만족감을 느끼지 못합니까?
-조직 내에서의 역할에 대해 환멸을 느끼고 있습니까?
-기분이 나아지게 하려고 혹은 아무것도 느끼고 싶지 않아서
  음식, 약물, 알콜에 의존합니까?
-잠드는 습관이 (좋지 않은 쪽으로) 바뀌었습니까?

‘그렇다’는 대답이 하나라도 있으면, 번-아웃되었거나 곧 번-아웃 상태가 된다는 뜻입니다.

여러분 자신이나 팀원이 번-아웃 상태라면, 다음 중 하나를  퇴치 방법으로 써보세요.

-유연성을 갖는다: 반드시 해야 할 일과 나중에 해도 되는 일을 구분하여 목표를 수립하라.
-업무시간 중 일부를 명상과 운동에 할애하라.
-숙면에 방해가 되는 요소(커피, 이메일, 야식 등)를 멀리하라.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번-아웃되었는지 빨리 알아보는 방법   https://infuture.kr/1876


'유정식의 경영일기' 구독하기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19688

 

<유정식의 경영일기>를 구독하세요

- '유정식의 경영일기' 구독은 무료입니다. - 2023년 1월 2일부터 매일 오전 8시에 발행됩니다.

page.stibee.com

 

반응형

  
,

훌륭한 관리자가 갖춰야 할 6가지 핵심스킬   

2023. 7. 18. 08:00
반응형

 

리더의 관리 스킬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리더로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기 위한 필수적인 관리 스킬은 업종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공통적인 핵심 스킬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 핵심 스킬 6가지를 알려 드립니다. 

 



1. 동기부여: 동기부여를 잘하는 관리자는 조직의 자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훌륭한 관리자는 개선해야 할 영역을 예리하게 관찰하고 문제를 부드럽게 접근하는 법을 잘 알고 있죠. 직원의 단점에 집중하여 직원을 낙담시키기보다 생산적 변화를 일으키도록 격려할 줄 압니다. 명확하고 달성 가능한 목표를 설정하고, 성취를 축하하며, 직원들이 자신의 성과가 회사 전체에 어떻게 기여하는지를 이해시킵니다.

2. 문제 해결: 훌륭한 관리자는 문제가 드러나기 전에 새로운 문제를 발견하고 문제의 근원을 식별합니다. 어떤 데이터가 우리 산업과 가장 관련이 있는지, 수집 방법과 결과값이 의미하는 바를 잘 알죠. 또한 빠르고 효율적인 문제해결 프로세스와 방법론을 적용할 줄 압니다.

3. 전문가로서의 직업의식: 훌륭한 관리자는 직원들이 무엇에 노력해야 하는지를 보여주기 위해서 자신을 롤모델화합니다. 그래서 최고의 기준을 고수하고, 엄격한 도덕 규범을 준수하며, 타인에게 올바른 모범을 보이려고 노력합니다.

4. 의사소통 : 훌륭한 관리자는 우수직원과 그렇지 못한직원 간의 격차, 부서간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연결 고리 역할을 수행합니다. 항상 명확한 메시지를 보내고 업무를 완료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공유하죠. 직원의 요구사항과 우려사항을 캐치할 수 있는 감성지능도 갖추고 있습니다. 

5. 업무 스킬: 이 스킬은 실무형 관리자들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직원들은 자신보다 업무 스킬이 높은 관리자를 존경하죠. 그래야 직원들을 가이드하고 더 넢은 성과를 달성하도록 도울 수 있으니까요.

6. 혁신 마인드: 훌륭한 관리자는 업계의 최신 뉴스와 직원들의 아이디어를 활발하게 공유합니다. 그리고 직원들이 혁신을 추진하도록 권한을 잘 부여합니다. 또한 고객의 입장에서의 혁신적인 솔루션 개발을 독려합니다.

현재 여러분과 함께 일하는 관리자에 대해 마음에 안 드는 것이 있다고 푸념하거나 손가락질하기 전에 여러분이 그 자리에 오르기 전에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생각하는 게 건설적인 마인드일 겁니다. 이 6가지를 기억하시고 훌륭한 관리자가 될 준비를 차근차근해 나가기 바랍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나는 관리자가 될 준비가 되어 있는가?   https://infuture.kr/1923


'유정식의 경영일기' 구독하기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19688

 

<유정식의 경영일기>를 구독하세요

- '유정식의 경영일기' 구독은 무료입니다. - 2023년 1월 2일부터 매일 오전 8시에 발행됩니다.

page.stibee.com

 

반응형

  
,

비와 함께 듣기 좋은 음악 5곡   

2023. 7. 17. 08:00
반응형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 제가 사는 서울 경기 지역에 호우경보가 내려진 상태입니다. 그동안 비가 많이 왔는데 앞으로도 더 많이 온다니 걱정이 되면서도 내일과 주말에 집콕이 허락된 조건이라 편안해지는 마음이기도 합니다. ^^

비가 오는 날, 여러분은 어떤 음악을 들으시나요? 오늘은 비가 올 때 들으면 더욱 좋은 음악 5곡을 소개합니다. 제가 비가 오면 찾아듣곤 하는 곡인데, 여러분의 취향에는 잘 맞을지 모르겠군요. 뽀송뽀송한 주말 되기 바랍니다.  

 




Nina Simon
He Needs Me
https://youtu.be/PmFChZR275U



James Taylor
You've got a friend
https://youtu.be/nKaWQxlTsRM



Jeff Buckley
Hallelujah
https://youtu.be/WIF4_Sm-rgQ



Chet Baker
Everything happens to me
https://youtu.be/qbYNTcHtdu0



Richard Stolzman
Because I loved you(원곡: 사랑하기 때문에)
https://youtu.be/p7R3MTIvy3c



'유정식의 경영일기' 구독하기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19688

반응형

  
,

어떤 직원이 '리더감'인지 알고 싶다면?   

2023. 7. 14. 08:00
반응형


우리 조직에서 차세대 리더가 누구인지 미리 발견하고 미리 준비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이시는지요? 이런 질문을 던지면 몇몇 기업들은 '핵심인재 육성 프로그램'을 통해 차세대 리더를 육성한다고 답합니다. 하지만 실상을 들여다보면 인사평가 점수를 기반으로 한(예: "S등급을 연속으로 몇 번 받은 직원") 프로그램인 경우가 대부분이더군요. 평가에 대한 직원들의 '일반적인 불신'을 감안한다면, 과연 그런 프로그램으로 '진짜 차세대 리더'를 발굴할 수 있을까란 의심이 듭니다. 그렇지 않나요?


차세대 리더 발굴은 기존의 평가와는 완전히 다른 각도로 접근해야 합니다. 과거의 평가 기록에 의존할 것이 아니라, 앞으로 리더로서 훌륭한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은지, 즉 잠재력에 초점을 맞춰야겠죠, 그렇다면 현재 각각의 직원의 얼마나 '준비'되어 있는지를 보면 됩니다. 차세대 리더가 될 준비 말이죠.

경영 코치는 로빈 카마로테(Robin Camarote)는 다음과 같은 6가지 요소로 우리 조직의 '리더감'을 찾으라고 조언합니다.

1. 성장에 대한 갈망: 타인에게 적극적으로 정보를 요청하는 직원, 개방적이면서 성장을 위해 피드백을 잘 수용하는 직원, 남들과의 비교보다는 본인의 과거와 현재를 비교하려는 직원은 리더가 되어서 성공적인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할 수 있다(can-do)' 정신: 실수를 저지르더라도 자기 일에 에너지와 열정을 유지시키는 직원, 자신에게 할당된 것 이상에 도달하려는 직원이 리더로서 성공할 가능성이 큽니다.

3. 솔선수범: 주도적으로 움직이며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하며 기꺼이 리스크를 감수하려는 직원이 누구인지 관찰해 보세요.

4. 타인에게 영감을 주는 능력: 팀에서 영향력을 발휘하는 직원, 타인들이 조언을 구하려고 하는 직원, 자연스럽게 협업을 이끌어내는 직원, 타인의 성공을 진정으로 축하하는 직원을 주목해 보세요.

5.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자신만만하게 떠드는 것이 좋은 소통은 아닙니다. 세련되지 않았더라도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려고 노력하고 타인의 말을 경청하는 직원이 차세대 리더로서 적합합니다.

6. 리더가 되고 싶은 열망: 그냥 리더를 맡기기 전에 일단 그 직원이 리더 역할을 원해야 한다고 카마로테는 조언합니다. 리더가 꿈인 아닌 직원에게 리더로 성장시키겠다는 계획은 서로에게 불편한 조치입니다.

*참고사이트
https://www.inc.com/robin-camarote/how-to-identify-employees-ready-to-step-up.html

[함께 읽으면 좋은 글]
똑똑한 사람은 왜 리더가 못 될까?   https://infuture.kr/903

 

 

'유정식의 경영일기' 구독하기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219688

 

<유정식의 경영일기>를 구독하세요

- '유정식의 경영일기' 구독은 무료입니다. - 2023년 1월 2일부터 매일 오전 8시에 발행됩니다.

page.stibee.com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