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표와의 "고민 상담"   

2014. 2. 10. 12:24
반응형

 

 

안녕하세요? 유정식입니다.

여러분의 개인적인 고민을 해결해 드리기 위해 ‘유대표와의 고민 상담’을 진행합니다. 구체적인 진행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출처: www.kaitlin-saunders.com

 

* 대상자

   - 개인적인 고민(예: 창업, 경력개발, 인간관계의 문제 등)을 가진 모든 분들

   - 단, 1인 기업가가 아닌, 조직의 CEO는 별도로 서비스 중인 ‘CEO 경영 코칭을 이용해 주십시오.

 

*상담하신 분들의 후기

  "지금껏 여러 상담을 받아 봤는데, 가장 실질적이고 도움이 되는 상담이었다."....A씨(여)

  "여러 가지로 답답했는데, 막힌 것이 빵 뚫리는 기분이었다."...B씨(남)

  "어떤 대안을 선택해야 하는지 갈피를 잡을 수 없었는데 확실한 방향을 얻었다."...C씨(남)

 

* 상담 장소 :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로27길 113 (다른 장소로 정해질 수 있음)

* 상담 시간 : 2시간

* 연락처 : 유정식 대표  jsyu@infuture.co.kr /  010-8998-8868  / 02-733-1568

* 원하실 경우, 상담 내용을 '녹음'하고 음성파일을 드릴 수 있습니다.

 

* 신청 순서

   (1) 다음의 내용을 jsyu@infuture.co.kr 으로 간단하게 보내 주십시오.

        - 성명
        - 휴대폰 번호
        - 상담을 원하는 날짜 (2~3개 정도 알려 주세요.)
        - 대략적인 고민 내용
   (2) 신청을 받으면 이메일을 통해 상담 일시를 확정하여 알려 드립니다.
   (3) 상담 일시가 확정되면 아래의 계좌번호로 상담료를 바로 입금해 주십시오.
        - 국민은행 816-24-0206-031 (예금주: 유정식)
        - 상담료 : 20만원
* 상담료 환불에 대한 규정
 - 상담 약속일 3일 전까지 취소시 전액 환불합니다.
- 그 이후에 취소하거나 No Show일 경우, 환불이 불가합니다.

 

혹시 저를 만나려면 무조건 위의 방법을 통해야 한다고 오해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유대표와의 고민 상담'는 자신의 내밀한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시간입니다. 그런 목적이 아닌, 가벼운 환담이나 미팅은 언제든지 환영입니다. ^^ 

 

여러분의 많은 관심을 바랍니다.

 

반응형

  
,

신개념 컨설팅 '프로젝트 코칭' 서비스 론칭   

2014. 2. 9. 05:09
반응형



안녕하세요? 2014년을 맞아 새롭게 선보이는 신개념 컨설팅 '프로젝트 코칭' 서비스를 소개합니다. 프로젝트 코칭은 간단히 말해 고객사 내부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코칭하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컨설팅 회사에게 프로젝트의 처음과 끝을 모두 일임하는 것보다 자체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되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면 여러모로 장점이 큽니다.


첫째,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1명의 프로젝트 코치(coach)가 1주일에 짧게는 2시간, 길게는 8시간 정도 프로젝트에 관여하기 때문에 컨설턴트의 투입시간에 따른 수수료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컨설팅 회사에 의뢰하기에는 소규모/저예산의 프로젝트도 얼마든지 컨설턴트(프로젝트 코치)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둘째, '내부에서 진행하면 객관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코치가 관여하기 때문에 외부인의 시각을 충분히 공급 받을 수 있고, 내부 구성원들에 대한 설득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셋째, 프로젝트의 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내부에서 진행하면 프로젝트 진행방법, 분석도구 및 방법, 타사 사례에 대한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프로젝트 코치의 도움으로 프로젝트의 품질을 향상시켜 보십시오.





프로젝트 코칭의 운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계약기간 : 프로젝트의 시작시점부터 종료시점까지(단, 최소 1개월)


- 프로젝트 코치의 역할 

   * 프로젝트 운영, 방법론, 보고서 작성 등을 전반적으로 조언하고 참고자료를 제공함

   * 단, 보고서 작성과 보고, 직원 설명회 등의 책임은 지지 않음

   * 프로젝트 팀(PM과 멤버)이 구성된 상태에서 프로젝트 코치가 투입됨


- 프로젝트 코치의 투입시간 : 1주일에 2시간 ~ 8시간(프로젝트 경중에 따라 결정)


- 코칭 비용 : 100만원 / 2~3시간 (부가세 별도)


- 코칭 분야 : HR제도, 인력관리, 조직 재설계, 경영전략, 비전 및 미션 수립 등


- 코칭 장소 : 프로젝트팀이 위치한 곳으로 방문하여 코칭을 진행함



지금까지 '프로젝트 코칭'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한 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D1사 : <중장기 인력계획 수립> 5개월

H1사 : <HR제도 개선> 6개월

H2사 : <평가제도 개선> 3개월

D2사 : <신인사 제도 수립> 5개월 (현재 진행 중)

S사 : <직무분석 및 적정인력 산정> 3개월

K사 : <해외진출 타당성 분석> 3개월

M사 : <HR제도 개선> 4개월



상기 내용을 PDF파일로 동일하게 담았으니 다운로드 받으시기 바랍니다.


프로젝트 코칭.pdf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면 다음의 연락처로 언제든지 알려주십시오.


유정식 대표 jsyu@infuture.co.kr

02-733-1568

010-8998-8868


감사합니다.



반응형

  
,

CEO가 포기해야 창의적인 문화가 가능하다   

2014. 2. 5. 09:23
반응형


당신의 조직을 창의적인 문화가 넘실대는 곳으로 변화시키고 싶다면!

Inc.com에 나온 기사에 저의 생각을 더해서 써봅니다. 모두 다섯 가지 방법인데요, CEO라면 별로 좋아하지 않을 조치인 것 같네요. ^^ 창의적인 조직문화를 만드는 일은 CEO의 많은 포기(?)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1. 휴가에 제한을 두지 마라


첫 번째 조치부터 거부감(?)이 팍 드는데요, 보통 많은 회사들인 직원들이 사용할 수 있는 휴가일수에 제한을 둡니다. 정해진 연차일수 이상은 쓰지 못하도록 하죠. 휴가 사용에 제한을 두지 않으면, '직원들이 매주 금요일에 회사에 나오지 않으면 어떻게 하나' 걱정이 들 겁니다. 하지만 직원들은 그렇게 양심불량이 아닙니다. 직원들은 스스로 자기가 얼마나 일해야 하고 언제 일해야 하는지 스스로 결정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2. 일하는 곳을 사무실로 제한하지 마라


사무실에서 일하는 것이 생산성이 가장 높은 방법은 아닙니다. 오히려 사무실에 여러 동료들과 함께 일하다 보면 집중이 안 되는 측면도 분명히 있고, 매번 동일한 환경에서 일하기 때문에 창의적인 발상이 나올 가능성이 떨어지죠. 창의적인 조직을 만들고 싶다면 사무실에 가둬 놓아서는 안 됩니다.

 


출처: under30ceo.com




3. 회의를 없애라


직원들을 사무실에 묶어 두려는 이유 중 하나는 필요할 때마다 언제든 불러서 이야기를 하거나 회의를 하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많습니다. 직원들의 얼굴이 눈에 보이지 않으면 괜히 불안한 거죠. 하루 종일 회의에 참석하느라(고개 푹 숙이고 몇 자 끄적거리기만 하고 나오는 회의에 끌려 다니느라) 정작 창의적인 업무는 아무것도 못하고 말죠. 가장 좋은 회의 문화는 회의가 없는 문화입니다.



4. 상세 목표 따위는 잊어라


회의를 자주 하는 이유 중 하나는 목표를 점검하고 수정하고 재설정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실적 점검 회의'류의 회의가 과연 창의적인 조직문화를 만드는 데 필요할까요? 근시안적인 숫자 맞추기 관행 때문에 창의력은 숨쉴 곳을 찾을 수 없을 겁니다. Inc.com은 두 세 개 정도의 '전사 목표' 정도만 직원들이 공유하고 직원들 각자가 '알아서' 그 목표를 달성하도록 격려하라고 조언하네요. 저 역시 같은 생각입니다.



5. 엄청나게(?) 피드백하라


피드백이라는 말을 들으면 꼭 다른 직원의 단점이나 개선할 점을 '지적질'하는 뉘앙스가 느껴지는 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피드백은 그런 의미가 아닙니다. 직원들의 성과를 인식하고 의견을 솔직 담백하게 서로 교환하는 과정입니다. 다른 사람을 깎아 내리는 것이 아니라, 시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과정이죠. 피드백은 월말, 분기말, 혹은 연말에만 하는 것이 아닙니다. 수시로 이뤄져야 합니다. 창의적인 조직문화는 조용한 조직에서는 나오기가 불가능합니다.




* Inc.com 원문 : http://www.inc.com/marc-barros/5-ways-to-bring-creativity-back-to-your-culture.html



반응형

  
,

완벽한 수평 구조, 과연 좋은 걸까?   

2014. 2. 3. 09:04
반응형



침팬지 암컷 두 마리를 건물 안으로 들여보내 동일한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면, 그 중 한 마리는 주저 없이 과제를 풀려고 하지만 다른 하나는 머뭇거리면서 아무 것도 손대려고 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자신의 행동을 절제함으로써 서열이 높은 암컷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침팬지 수컷 우두머리는 털을 곧추 세운 채 무리를 순시할 때 자신이 가는 길을 제때 비켜주지 않는 부하를 때리면서 과시행동을 하죠. 이 때 무리의 침팬지들은 우두머리에게 웅얼거리는 소리를 내며 경외감을 표합니다. 침팬지 사회의 서열은 동료들끼리 처절한 싸움과 간교한 권모술수가 판치는 혼란을 통해 결정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서열이 분명하게 정해질수록 갈등의 소지가 사라지고 안정정이 유지됩니다 .


침팬지 이야기를 서두에 꺼낸 이유가 있습니다. 세계 최대의 온라인 신발 쇼핑몰인 재포스(Zappos)의 설립자 토니 셰(Tony Hsieh)는 ‘완벽한 수평 구조’를 만드는 것이 2014년 말까지 달성해야 할 목표라고 천명했다고 합니다. 1500명이나 되는 직원들의 직위명을 모두 없앰으로써 의사결정 상의 병목 현상을 제거하겠다는 것이죠. 소위 ‘홀라크라시(holacracy)’를 재포스에서 실현하겠다는 것의 그의 최종 목표입니다. 



출처: www.chambersexecutive.com



홀라크라시는 ‘전체’를 뜻하는 그리스어 holos와 ‘통치’를 의미하는 ‘cracy’가 합쳐진 말인데, 상명하달식 의사결정이 아니라 ‘자기조직적(self-organizing) 팀’들이 각자 알아서 의사결정의 권한을 행사하면서도 전체(회사)를 위해 유기적으로 협력한다는 개념입니다. 이렇게 되려면 직원 각자에게 동등한 권한이 부여되어야 하고 특정인이나 특정부서가 권한을 독점하는 일이 없어야겠죠. 토니 셰는 이미 150명의 직원들을 대상으로 재포스에서 홀라크라시를 구현하기 위한 작업에 돌입했다고 합니다. 


그의 야심찬 2014년 목표가 과연 실현될 수 있을까요? 물론 이렇게 의사결정의 수평구조를 구현하면 성과가 향상되고 특정인의 독단적이고 단기적인 의사결정의 폐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MIT 슬론 경영대학원의 잰 클라인(Jan Klein)은 쉘 오일(Shell Oil)의 사례를 들며 의사결정의 수평구조가 항상 좋은 것만은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쉘 오일은 일선 관리자들을 없애는 조치를 취했는데 6개월만에 그 조치를 거둬들였다고 합니다. 직원들이 어렵게 얻은 ‘타이틀’을 포기하는 것 대신에 회사를 그만두는 선택을 했기 때문이죠. 


왜 그랬을까요? 수평구조의 문제점은 ‘누가 보스이고, 누가 보스가 아닌지’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행동방식을 조정하려는, ‘사회적 동물’로서 인간이 가진 본능을 거스른다는 것입니다. 침팬지 사회와 마찬가지로 우리 인간들도 누가 조직의 ‘짱’인지를 파악해야 어떻게 의사결정을 내려야 하는지, 다른 사람들에게 얼마나 협조해야 하는지 등을 쉽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람들이 권력과 지위를 어떻게 인식하는가에 대하여 UC버클리의 산제이 스리바스타바(Sanjay Srivastava)와 캐머런 앤더슨(Cameron Anderson)이 연구한 결과로 알 수 있죠. 


표면적으로 ‘보스가 없는 조직’이라 해도 사람들은 무의식적으로 누가 조직을 이끄는 사람인지 찾으려 한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입니다. 새들이 ‘쪼는 순위(Pecking Order)’를 자연스레 형성하듯이, 형식적으로는 보스가 없는 조직이라 해도 자세히 들여다 보면 그 안에 암묵적으로 서열 구조가 곧바로 구축된다는 것이죠. 또한 보스가 없으면 구성원들은 조직에서 높은 위치로 올라가고자 하는, 본능과도 같은 성향을 보상 받을 방법이 없다는 것도 문제가 됩니다. 쉘 오일의 직원들이 회사를 나간 이유가 바로 이것 때문이겠죠.


몇몇 전문가들은 재포스가 완벽한 수평 구조를 만든다고 해도 단지 타이틀만 사라질 뿐, 암묵적인 서열은 사라지지 않을 거라고 전망합니다. 수평 구조가 오히려 나쁜 의사결정의 원인이 될 것이고, 혁신과 협업에도 그다지 도움이 안 될 거라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재포스가 과연 이런 부정적인 전망을 극복하고 완벽한 수평 구조를 실현할 수 있을지, 앞으로 두고 봐야겠지요.


여러분은 어떻게 전망합니까?



(*참고문헌)

A Company Without Job Titles Will Still Have Hierarchies - @HarvardBiz 

( http://blogs.hbr.org/2014/01/a-company-without-job-titles-will-still-have-hierarchies/ )


Srivastava, S., & Anderson, C. (2011). Accurate when it counts: Perceiving power and status in social groups. Managing interpersonal sensitivity: Knowing when—and when not—to understand others, 41-58. 



반응형

  
,

all New 'CEO 경영코칭' 서비스 론칭   

2014. 1. 24. 02:47
반응형




2014년 인퓨처컨설팅의 새로운 서비스 'CEO 경영코칭'을 소개합니다.


1. CEO 경영코칭이란?

  • CEO 경영자문은 조직에서 매번 발생하는 경영상의 이슈를 청취하고 CEO(혹은 주요의사결정자)와 함께 고민하며 해결책을 논의하는, customized된 경영 코칭 서비스입니다.
  • 코칭 대상자 : 최고경영자(CEO) 혹은 그에 준하는 임원


2. CEO 경영코칭 분야

  • 비전 및 경영전략
  • 인사제도 수립 및 운영
  • 인력 운영 이슈
  • 비즈니스 모델 재정립
  • 기타, 경영 이슈


3. CEO 경영코칭 신청 방법

  • 이메일(jsyu@infuture.co.kr)로 다음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해서 보내 주십시오.
    • 참석자명 : 
    • 전화번호 :
    • 자문 주제 : 
    • 미팅 희망일 및 시각 :   (*1회 방문시 2시간을 기본으로 합니다. 2개 정도 일러 주십시오.) 
  • 이메일을 받은 후, 유정식 대표가 답장 드리거나 전화를 드려서 미팅 일자를 확정합니다.



4. CEO 경영코칭 운영 방식

  • 기본적으로 인퓨처컨설팅의 회의실에서 진행합니다.
  • 주소 :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동 188-71, 301호
  • 1회 미팅시 2시간을 기본으로 합니다.
  • 경영자문은 구두로 진행하는 것으로서, 별도의 documentation은 없습니다.


5. CEO 경영코칭 수수료

  • 1회당 60만원 (부가세 별도)
  • 계신 곳으로 방문하여 코칭시 1회당 80만원 (부가세 별도)
  • 10회 이상 선결제시 10% 할인
  •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연락처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02-733-1568,  유정식 대표 010-8998-8868, jsyu@infuture.co.kr )

6. CEO 경영코칭 실적

  • 현재까지 총 10개사 코칭
  • 현재 5개사 코칭 중 (최소 3개월 이상 코칭 중)


본 내용을 파일로 받아 보시려면, 아래의 PDF를 다운로드하십시오.


CEO경영자문.pdf



[지금까지의 주요 자문 사례]


[사례 1] 미션 스테이트먼트 재정립

  • 당초 설정된 미션 스테이트먼트(Mission Statement)가 고객과 구성원들에게 직관적으로 이해되기 어렵고 기업 설립 초기의 상황과 맞지 않는 부분이 있어 변경해야 할 필요성이 있었음
  • CEO가 추구하는 기업 가치를 청취하여 새로운 미션 스테이트먼트의 골격을 구성했음
  • 이와 함께 ‘고객’, ‘OO산업’, ‘지역사회’, ‘직원’에 대한 책임을 각각 정의한 Credo(신조)를 결정했음
  • 현재 새로운 미션 스테이트먼트에 대해 직원들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과정이 계획 중임


[사례 2] 소위 ‘썩은 사과’ 직원에 대한 조치 논의

  • 조직 분위기를 해치는 특정 직원에게 내릴 조치(경고, 보직 해임, 해고 등)에 관해 논의했음
  • 다른 직원에게 영향을 끼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직원에게 보임 해임 등의 징계를 내릴 것을 권고했음


[사례 3] 현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리뷰

  • 현재의 비즈니스 모델을 고객, 핵심활동, 가치 제안(Value Proposition), 주요 자원, 주요 채널, 핵심 파트너 등의 9가지 요소로 구분하고 각 요소에서 발생하는 고충점(Pain Point)을 망라했음
  • 규명된 고충점을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고객 세그먼트, 새로운 핵심활동, 새로운 채널, 새로운 가치 제안을 통해 현재의 비즈니스 모델을 개선할 것을 제안했음


[사례 4] 평가 및 보상제도에 관한 자문

  • 평가의 목적과 방법에 관하여 주요 관리자들과 3차례 가량 논의를 진행했음
  • 평가의 목적은 직원들의 역량 개발을 통해 성과를 극대화하는 데 있음을 공감하고, 이런 목적을 위해 보상과의 연계는 오히려 방해가 될 수 있다고 의견을 모았음
  • 평가는 일상적인 피드백을 위한 도구로 활용하고, 보상은 호봉제를 기초로 운영할 것을 제안했음


[사례 5] 임금 수준 조정에 관한 자문

  • 특정 직무 수행자들의 임금 수준을 조정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와 그 방법에 관하여 자문했음
  • 시장에서 형성된 기준선(Baseline)에 맞추어 보상하되, 평가 결과를 반영한 연봉제는 폐지하고 동일 연차에게 동일 호봉을 지급하는 방법을 운영하기로 결정했음


[사례 6] 기타 자문 주제

  • 경력개발 제도에 관한 자문
  • ‘결과 중심의 근무 환경(Result Only Working Environment)’에 관한 자문
  • 비즈니스 모델 재정립에 관한 자문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