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가 IBM보다 나았던 점은?   

2010. 10. 18. 09:00
반응형


우리 몸에는 면역세포들이 있어서 병원균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병원균은 종류만도 수백 가지에 이를 정도로 다양합니다. 또 심지어 자주 변이를 일으켜서 면역세포들이 자기들을 쉽게 공격하지 못하도록 모습을 바꿉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우리 면역세포들이 모든 병원균에 대해서 완벽하게 맞는 항체를 모두 가지고 있을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 몸은 웬만해서는 병원균에 쉽게 감염되지 않습니다. 완벽한 항체가 없는데도 병을 이겨내는 비밀은 무엇일까요? 그 비밀은 바로 면역세포가 '어림짐작'을 통해서 항체를 만들어 가기 때문입니다.


병원균이 침입하면 면역세포는 어림짐작으로 몇 개의 항체를 만듭니다. 그 중에서 어떤 항체가 병원균을 억제한다는 것을 발견하면, 면역세포는 ‘아, 이 항체가 효과가 있구나’ 라고 판단하고, 그 항체를 집중적으로 만들어 냄으로써 병원균을 퇴치하는 거죠(실제의 메커니즘은 복잡하지만 간단한게 표현하면 이렇습니다). 

이처럼 체내 면역세포가 움직이는 모습을 보면 간단하지만 대단한 원리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바로 면역세포들은 어림짐작으로도 완벽하게 몸을 지키고 있다는 점이죠. 

여러분은 복잡하고 불확실한 상황에서 의사결정을 해야 할 때 어떻게 하시나요? 완벽한 답을 찾을 때까지 의사결정을 미루십니까? 누구나 완벽한 해답을 갈망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완벽한 해답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죠. 완벽한 해답을 찾다가 앞으로 나가지 못하고 제자리에서 맴도는 경우도 많은데요. 이것이 바로 ‘완벽이라는 함정’입니다. 

그렇다면 면역세포처럼 기업의 전략 실행에도 ‘어림짐작’의 메커니즘을 적용하는 것은 어떨까요? 최고의 답이 아닐지라도 70%를 만족시킬 수 있다면 그 방법을 선택하는 거죠. 나머지 30%는 일을 진행해나가면서 한걸음씩 발전시키면서 채워나가는 겁니다. 물론 리스크가 없는 건 아니지만,100% 확실한 정답이 아니라고 해서 의사결정을 미루기만 한다면 그 또한 리스크를 키우는 꼴입니다.  바로 '완벽의 함정'에 빠지는 순간이죠.

1980년대 IBM의 추락은 완벽주의의 폐해를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당시 IBM은 시대를 선도하는 첨단기업으로서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가고 있었습니다. 처음 가는 길이다보니 신중하고 완벽해야 한다는 완벽주의가 어느새 기업 전체에 뿌리 깊게 자리잡고 있었죠. 그래서 의사결정은 매우 느렸고 제품 출시는 늘 일정을 넘기기 일쑤였습니다. 오죽하면 “IBM이 제품을 내보내는 것이 아니라, 제품들이 기다리지 못해 탈출하는 것이다" 라는 말까지 생길 정도였다고 합니다. 

그에 반해 완벽을 '덜' 추구함으로써 일약 스타로 떠오른 기업도 있습니다. 바로 마이크로소프트입니다. MS-DOS라는 운영체계는 현재의 마이크로소프트를 만든 원동력이죠. 사실 MS-DOS는 시애틀컴퓨터사가 개발한 운영체제를 마이크로소프트가 헐값에 사들여 조금 고친 뒤에 PC에서 겨우 돌아가게 만든 조잡한 제품이었습니다.

그렇지만 마이크로소프트는 민첩한 판단력과 발빠른 실행력으로 일단 제품을 시장에 출시했죠. 그리고 점점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 시켜 나갑니다. 완벽하기보다는 조금 부족하더라도 스피드를 추구한 전략 덕분에 마이크로소프트는 경쟁사를 앞설 수 있었고 결과적으로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습니다(요즘은 구글이나 애플에게 밀리는 모습을 보이지만...).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하이에크는 "시장경제가 계획경제보다 우월한 이유는 다양한 의견수렴을 통해 한걸음씩 더듬어 가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한 번에 완벽한 답을 찾으려고 고집하기보다는, 현실적인 입장에서 가장 적합한 방안을 한걸음씩 찾아가고, 이를 적절한 타이밍에 맞추어 실행하겠다는 태도야말로 완벽의 함정에서 벗어나는 최선의 방법입니다.


inFuture 아이폰 앱 다운로드       inFuture 안드로이드 앱 다운로드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