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하버드 의과대학의 신경학자인 알바로 파스쿠알 레온은 국립보건원에서 연구원으로 일할 때에 이런 실험을 수행한 적이 있습니다. 그는 피아노 연주 경험이 없는 피실험자를 여럿 모은 다음에 단순한 음으로 된 멜로디를 그들이 피아노로 연주할 수 있도록 가르쳤습니다. 그러고 나서 그는 피실험자들을 두 개의 그룹으로 나눴습니다. 첫 번째 그룹의 피실험자들에게는 앞으로 5일 동안 키보드로 멜로디를 연습하도록 지시했고, 다른 그룹에게는 같은 기간 동안 자신들이 배운 멜로디를 머리 속 건반으로 연주하는 상상만 하도록 했습니다.
파스쿠알 레온은 실험을 시작하기 전, 실험 도중, 실험 후에 피실험자들의 뇌 활동을 기록함으로써 그들의 뇌에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알아내려 했습니다. 그는 그룹과 상관없이 피실험자 모두 뇌 활동의 변화가 일어났음을 밝혔습니다. 놀라운 것은 머리 속으로 상상의 연주만 하도록 허용됐던 그룹이 실제 건반을 사용해서 연습하도록 했던 그룹과 뇌 활동 변화에 있어 큰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단순히 상상만으로도 실제 손가락으로 연습한 것과 동일하게 뇌 활동의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입니다. 파스쿠알 레온의 실험은 우리가 흔히 '마인드 트레이닝'이라 부르는 방법이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죠.
인간의 뇌가 이처럼 일정 기간의 '상상 훈련'만으로 변화할 수 있는 이유는 '가소성(plasticity)'라고 부르는 뇌의 특성 때문입니다. 가소성은 인간의 뇌가 계속해서 환경과 반응하면서 처음의 구조와 다른 모습으로 변하는 성질을 말합니다. 우리는 보통 나이가 들면 '머리가 굳는다'라고 말하면서 뇌의 가소성은 어렸을 때나 존재하는 특징이라고 생각하곤 하지만, 어른이 되어서도 외부나 내부에서 가해지는 힘, 긴장, 집중적인 사고 등에 의해 여전히 가소성은 유지됩니다.
뉴런은 항상 환경과 반응하면서 기존의 연결을 끊고 새로운 연결을 취합니다. 역동적으로 새로운 신경세포가 생성되기도 하죠. 한번 만들어지면 변하지 않는 기계가 아니라, 늘 말랑말랑한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환경 적응력을 최고조로 유지하죠. 뇌의 가소성 덕에 우리는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할 수 있고 새로운 사실을 배우거나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 있죠. 피아노를 연주한 적이 없는 피실험자들이 5일 간의 연습과 마인드 트레이닝만으로 뇌에 변화가 생겼으니 말입니다.
그러나 이렇게 말하면 뇌의 가소성이 우리에게 환경 적응력이라는 긍정적인 능력만을 부여한 것처럼 생각되겠지만, 사실 가소성이란 성질은 뇌를 다르게 변화시키는 환경이 인간에게 '좋으냐, 나쁘냐'에 대해서는 일말의 관심도 없습니다. 그저 환경의 자극과 긴장에 따라 반응할 뿐이죠. 그래서 '나쁜 습관'이나 '바람직하지 못한 환경'이 강하게 자극을 가하면 우리의 뇌는 그런 방향으로 고착화될 위험이 있습니다. 정신과 의사 노먼 도이지(Norman Doidge)는 "일단 우리의 뇌 속에 새로운 회로를 만들어낸다면 오랫동안 그 회로를 활동하도록 둔다"고 말합니다.
도이지의 이 말은 의미심장합니다. 우리의 뇌가 유연하기도 하고 동시에 '완고'하다는 뜻이죠. 특히 쾌락의 물질인 도파민을 갈망하는 쪽으로 뇌의 구조가 변하면, 웬만해서는 도파민의 유혹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그 회로를 더욱 강화시키게 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다시 말해 뇌의 가소성이 지적 능력의 쇠퇴를 가져올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유감스럽게도 그러합니다.
인터넷과 월드와이드웹의 일반화, 스마트폰과 SNS의 폭발적 증가, 증강현실의 확대가 낳은 긍정적인 변화의 이면에는 사람들이 점차 깊게 사고하며 정보를 탐색하는 능력을 상실해 간다는 어두운 그늘이 분명 존재합니다. 한번의 클릭으로 광범위한 대량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에 적응하면서 우리의 뇌는 가소성 덕에 점차 그것에 맞춰지고 있습니다. 정보를 찾기 위해 책을 읽기보다는 인터넷을 검색합니다. 모니터에서 기사를 읽을 때도 뛰엄뛰엄 읽고는 다른 사이트로 재빨리 이동합니다. 그래서 긴 글을 읽을라치면 머리부터 아파옵니다. 정보와 지식을 배우는 능력보다는 어디에 있는지 잘 찾을 수 있는 능력이 우선이라고 믿게 됐습니다.
정보기술이 고도화할수록 우리의 집중력 또한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에 기웃거리느라 업무를 중단하는 경우가 잣습니다. 특별히 볼 것도 없는데 웹브라우저를 켜놓아야만 안심이 됩니다. 찻집에 차분히 앉아 차를 마실 때도 와이파이가 잡히지 않으면 불안해집니다. 스마트폰이 일반화되면서 누군가를 만나 이야기를 나눌 때도 고개를 숙이며 스마트폰을 바라보며 대화에 몰입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개인적으로 느끼는 것인데, 1년 전과 지금을 비교하면 교육을 받다가 특별한 이유없이 스마트폰을 쳐다보며 다른 행위를 하는 교육생들이 부쩍 늘었습니다).
이처럼 단편화된 정보만을 취하고 집중하지 못한 채 여기저기 방랑하는 인간의 뇌는 지금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고 니콜라스 카는 경고합니다. 인터넷이 우리의 뇌 구조를 바꾸고 우리의 사고방식을 얕고 가볍게 만든다며 일침을 가합니다. 스마트한 정보기술 환경이 인간의 뇌를 스마트하게 만드는 것은 아니라고 말합니다. 정보가 차고 넘친다고 해서 우리의 뇌가 그만큼 똑똑해진 것은 아니라는 그의 생각은 깊은 동의를 불러 일으킵니다.
일주일에 하루 쯤은 철저히 오프라인으로 살아도 되지 않을까요? 내 말랑말랑한 뇌가 자꾸만 편한 쪽으로 고착되지 않도록, 인터넷에 의존하느라 덜 생각하지 않도록, 한줄의 글을 읽더라도 글쓴이의 심상과 교감할 수 있도록, 나의 내면과 대화하고 상대방의 눈을 응시할 수 있도록, 일주일 중 하루는 '언플러그드 라이프(Unplugged Life)'를 즐기면 어떨까요? 의미 있는 삶을 탐색하고 회복하기 위해 나의 뇌를 수호하는 반동주의자가 되면 어떨까요?
(*참고도서 : '생각하지 않는 사람들')
반응형
'[경영] 컨텐츠 > 경영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소한 차이가 시위를 확산시킨다 (0) | 2011.07.06 |
---|---|
디자이너가 없는 자동차 회사 (0) | 2011.07.05 |
어느 컨설팅 회사의 거짓말? (2) | 2011.06.23 |
불확실성이 우리를 행복하게 만든다 (2) | 2011.06.21 |
우리의 예지력은 형편 없다 (0) | 2011.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