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회사 직원들은 왜 창의적이지 못할까?   

2008. 5. 3. 13:44
반응형

개인이나 기업들 모두 창의적인 사고의 가치를 높이 인정하는 분위기다. 창의력을 키우기 위한 갖가지 방법들이 창안되고 있으며 회사는 직원들에게 그 기법을 습득시키려 많은 돈을 지출하고 있다. 인터넷으로 창의력이란 단어를 검색해보면 숱하게 많은 창의력 교육프로그램들의 목록이 어지럽다. 저마다의 방법론과 도구로 무장한 열띤 광고문구가 교육을 수강하기만 하면 에디슨이나 레오나르도 다빈치도 울고 갈 만큼의 창의력 소유자가 될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킬 정도다.

하지만, 창의력 교육프로그램이 그렇게 많고 기업들은 기회가 생길 때마다 직원들을 교육에 내모는 데도 불구하고 왜 우리는 충분히 창의적이지 못할까? 깜짝 놀랄만한 제품이나 서비스는 왜 아주 가끔 더디 생겨나는 것일까? 수학올림피아드에서 1등을 종종 거머쥐는 우리지만 가까운 일본이 노벨 과학상을 9번이나 수상하는 동안 왜 우리는 노벨평화상 수상 하나로 스스로를 위안해야 할까? 그래서 어떻게든 노벨상을 받고 싶어서 나라 전체가 황우석 신화에 소위 ‘올인’한 것일까?

많은 지식인들이 우리나라 사람들의 잘못된 결과지상주의, 입시 위주의 교육 등으로 인해 창의적인 사고가 원천적으로 차단된다고 말하고 있는 듯하다. 모두 맞는 얘기다. 그러나 나는 창의적 사고의 경직과 창의적 사고에 대한 이유 없는 배척의 가장 큰 원인을 우리 모두의 ‘게으름을 동반한 두려움’에서 찾고 싶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게으른 사람들은 강의에서나 책에서 뭔가 새로운 걸 알게 되면 흥미를 느끼다가도 ‘이론은 이론일 뿐이야. 현실은 엄연히 다르다구.’ 하며 짐짓 깨달았다는 표정을 짓곤 한다. 책에 나오는 이론이 실천되기 힘든 이유는 이론이 잘못돼서 그런 것이 결코 아니다. 바로 그 자신이 게으르기 때문이다. 이론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노력이 필수불가결하다. 당연한 말이지만 노력 없이 그냥 책을 읽거나 강의를 묵묵히 듣는다고 해서 달라지는 것은 그동안 시간이 흘렀다는 사실 이외에 아무 것도 없다. 또한 당신은 두려운 것이다. 이론을 따르는 데 있어 부닥치게 될 개인의 혹은 집단의 곤란과 반대가 지레 두렵기 때문이다.

창의력을 북돋우기 위한 여러 가지 기법들은 바로 이와 같은 직원들의 ‘게으름을 동반한 두려움’을 깨뜨린 다음에 도입되어야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정장 대신 캐주얼을 입게 한다고 해서 창의적인 조직이 될 거라 기대한다면 지나치게 순수한 생각이다. 사무실 벽면을 알록달록하게 만들고 다소 기이한 가구와 기구를 곳곳에 배치한다고 해서 안 나오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갑자기 샘솟지는 않는다. 해병대 캠프에 우르르 입소하여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땀범벅 눈물범벅 구른다고 해서 경직된 사고가 깨지지는 않는다. 오히려 튀는 것을 용납 못하는 집단주의를 강하게 결속시킬 뿐이다.

여담이지만, 나는 적어도 창의력에 있어 군대는 독이라는 생각이다. 다소 버릇없었지만 창의력으로 반짝이던 친구가 군대 3년 후 말 잘 듣는 평범한 청년으로 변한 것을 보고 꽤나 애석했던 적이 있었다. ‘쇼생크 탈출’이란 영화에서 모건 프리먼이 가석방된 다음에 수퍼마켓 점원으로 일하면서도 오줌 누러가는 것까지 점장 허락을 받아야 비로소 안심하고 다녀오던 장면을 기억하는가? 나는 어쩐지 군대가 우리의 젊은이들을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젊은 모건 프리먼’으로 만들어 버리는 건 아닌지 심히 염려스럽다. 남북 분단 상황만 아니라면 징병제는 국가 전체의 창의력 수준 향상과 국가발전을 위해서라도 폐지되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뭔가를 도입하여 추진하고자 할 때 기성세대들의 대부분은 ‘하면 된다’라는 기치에 지나치게 몰두하여, 조직의 창의성을 높이는 데에도 강압적이면서도 중앙집권적인 방법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는 듯하다. 창의력에도 ‘빨리빨리’ 문화를 접목하려는 것이다. 강압적인 상황에서 나온 아이디어는 창의가 아니라 ‘순응’에 지나지 않는다. 새로운 것을 말할 때 ‘찍어 누르지’ 않고 격려하는 의사소통, 실패를 오히려 환영하는 분위기, 새로운 것을 말할 때 두려워하지 않는 직원들, 새로운 것을 항상 찾아 CEO부터 말단직원에 이르기까지 실천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창의가 벌떡 일어나 춤추는 조직이 된다.

창의가 죽어있는 조직을 창의가 벌떡이는 조직으로 바꾸고자 한다면 직원들 마음에 웅크리고 있는 게으름과 두려움에게 싸움을 걸어라. 싸움을 걸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너, 화장실 뒤로 나와!’ 라고 버럭 소리라도 쳐야 하지 않겠는가? 그리고 뼈 속까지 사무치는 강한 펀치를 날려라. 경험치 못한 새로운 것에 대한 불편함과 까닭 모를 두려움의 존재를 느끼게 하고 인정하게 하라. 그것도 아주 뼈아프게 느끼게 하라. 뾰족한 방법은 없으니 뭐든 시도해 보라. 그러니 고민하라. 해병대 입소 같은 것만 빼고 말이다.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