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어떤 친목 모임에서 모 대학 교수가 하신 말씀이 가슴에 꽂힙니다.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던 중에 그 분은 갑자기 이렇게 화두를 던졌습니다. “빙산의 일각이라는 말의 정확한 의미가 뭔지 아십니까?” 저는 이 질문에 “빙산에서 겉으로 드러나는 부분은 10%도 안 되고 거의 대부분이 물 속에 잠겨 있음을 나타낼 때 쓰는 말 아닌가요?” 라고 대답했습니다.
KTX 안에서 글을 쓰는 필자
저의 상투적인 답에 그 분은 이렇게 말씀을 이어갔지요.
“사람들은 잠재력이라는 말을 할 때마다 거의 자동적으로 머리 속에 빙산의 모양을 그리는 것 같습니다. 그러면서 이렇게 생각하곤 하죠. ‘지금 내가 내보이는 실력은 빙산의 일각에 지나지 않아. 내가 가지고 있는 잠재력은 수면 아래 보이지 않는 빙산의 밑부분처럼 아주 크다’고 말입니다. 혹시 선생님도 그렇게 생각하시는지요?”
술이 좀 취했던 탓일까요? 저는 그 분이 어떤 의도를 가지고 한 말씀인지 짐작이 되질 않아 웃음으로 대답을 대신했습니다. 그 분은 맥주 한 모금으로 입을 축인 뒤에 말을 이어갔습니다.
“어떤 사람이 배를 타고 북극 지방을 여행한다고 해보죠. 수면 위에 떠오른 얼음 덩어리를 발견하게 된다면 ‘아, 저게 빙산이구나’ 라고 손가락을 가리키게 될 겁니다. 얼마나 큰 얼음덩어리가 수면 아래에 웅크리고 있는지는 여행자의 눈에 띄지도 않을뿐더러 관심의 대상도 아닐 겁니다. 이 말이 무슨 뜻인지 아시겠습니까?”
저는 역시 대답 대신 고개만 끄덕였습니다. 하지만 이번엔 그가 어떤 말을 이을지 짐작이 됐습니다. 그 분은 옆 사람이 따라 주려는 술잔을 잠시 물리치고 이렇게 말했습니다.
“자신의 잠재력이 크다고 자부심을 가지는 사람을 보면 측은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왜냐하면 잠재력은 절대 능력이 아니거든요. 빙산의 아래 부분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능력, 다시 말해 자신의 잠재력이 제아무리 크다 해도 사람들이 관심을 두는 건 겉으로 드러나는 그 사람의 능력이지 잠재력이 아닙니다.
잠재력이 크다는 말은 오히려 그 사람의 무능함을 에둘러 이야기하는 것에 지나지 않죠. 능력 있는 사람이란 수면 위로 드러난 능력 자체가 큰 사람이고 물 속에 잠긴 잠재력을 능력으로 바꿀 줄 아는 사람입니다. 잠재력이 큰 사람은 절대 능력 있는 사람이 아닙니다.”
저는 이 말에 동의한다는 대답을 하고, 갑자기 빙산의 일각이란 말과 잠재력 이야기를 꺼낸 이유가 궁금하다는 질문하려 했습니다. 그러나 옆에 있던 일행들이 “두 분 지금 사귀십니까?” 라고 농을 치며 술을 권하는 바람에 이야기는 더 이상 계속되지 못했지요.
어떤 장면이나 단어를 보거나 들으면 머리 속에 파노라마처럼 스치고 지나가는 기억의 이미지가 누구에게나 한 두 개쯤은 있을 겁니다. 저에게 잠재력이란 말은 그 중 하나입니다. 수많은 어릴 적 기억들이 희미해진 지 오래지만, 유독 그때의 일이 머리에 선명한 이유는 초등학교 졸업식 전날의 일이 마음에 남긴작은 상처 때문입니다.
선생님은 졸업을 하루 앞둔 아이들을 모아 놓고서 지난 1년 동안의 감회로 서두를 연 다음, 매년 졸업식 전날이면 하신다는 ‘덕담 릴레이’를 진행했습니다. 선생님이 1번부터 끝번호의 아이까지 칠판에 이름을 한 명씩 써 가면서 그 학생이 가진 장점과 미래에 어떤 사람이 되어 주길 바란다고 이야기하는 것이 덕담 릴레이의 방식이었지요.
지금도 여전하지만, 당시는 개성이나 특기보다는 반에서 몇 등 하느냐가 아이들을 평가하는 유일한 잣대로 여겨지던 때였습니다. 당시 어려운 집안 사정 때문에 공부에 제대로 신경 쓰기 어려웠던 때라서 내 성적은 반에서 중간 정도에 그쳤고 예체능엔 아예 젬병이었습니다.
그래서 50명이 넘는 아이들 중에서 선생님이 제 이름과 얼굴을 알고나 있을지 의심이 들만큼 '있는 듯 없는 듯' 학교에 다니는 평범한 학생에 불과했지요. 그래서 선생님이 저를 어떻게 바라 보고 있었을까 궁금하기도 했습니다. '과연 나에 대해서 어떻게 이야기하실까?' 제 차례가 다가올수록 가슴이 쿵쿵 뛰는 걸 느끼며 선생님의 입을 주목했습니다.
이윽고 제 차례가 되자 선생님은 제 이름을 칠판에 크게 쓴 뒤에 저를 바라보며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이 학생은 아주 잠재력이 큰 학생이에요. 중학교에 가서 열심히 공부하면 나중에 좋은 사람이 될 거라고 믿어요. 그리고 박성훈은…”
선생님은 서둘러 저에 대한 평가를 마치고 뒷 번호의 아이로 넘어가셨습니다. 예상은 했지만, 잠재력이 크다는 말 이외에 선생님은 저에 대해 할 말이 별로 없다니, 저는 꽤 섭섭했지요. 공부 잘 하던 몇몇 아이에게는 구체적인 사례까지 들어가면서 장점을 칭찬하신 선생님이었기 때문입니다.
'역시나 나는 있는 듯 없는 듯한 학생이구나.' 저는 고개를 푹 숙이고 공책에 큼지막하게 한 단어를 써 보았다. 선생님이 저의 장점에 대해 말씀하신 유일한 단어, '잠재력'. 어린 나이였지만 그 말이 칭찬이 아니라 마땅히 할 말이 없을 때 듣기 좋으라고 꺼내는 미사여구에 불과하다는 직감이 들었습니다. 어린 마음에 상처가 됐었는지 집으로 가면서 다시는 그 말을 듣지 않아야겠다며 다짐했던 기억이 나는군요.
어릴 적부터 제게 각인된 잠재력에 대한 저의 정의는 이렇습니다.
잠재력 ≠ 능력
“자네는 아주 잠재력이 큰 사람이야.” 라는 말을 듣는다면, 어떤 기분이 듭니까? 상대방의 말이 진심이건 아니건 간에 자신도 모르게 어깨가 으쓱대고 기분이 좋아집니다. 하지만 물 속에 잠긴 잠재력의 크기에 만족해 봤자 바뀌는 것은 아무 것도 없습니다. 여전히 감추어져 있을 뿐이고, 눈에 보이는 능력의 크기는 그야말로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죠. 잠재력은 절대 여러분의 능력이 아닙니다.
잠재력이 크다는 말은 칭찬이 아니라 능력 없음을 완곡하게 표현한 말에 지나지 않습니다. 잠재력이 높다는 말은 아이들에게나 어울리는 말이지 일정한 사회적 지위에 이르러서 능력을 발휘해야 할 단계에 있는 성인(成人)들이 들을 이야기는 아니죠.
만일 당신이 누군가로부터 그런 말을 듣는다면 스스로를 성찰하는 계기로 삼아야 합니다. '왜 잠재력을 진정한 능력으로 전환시키지 못하는 걸까?', '언제까지 잠재력이 크다는 말만 들을 것인가?'라고 말입니다.
자신을 좀 더 나은 상태로, 좀더 소망하는 위치로 자리잡도록 하려면 열의와 노력을 다해 남에게 보이는 능력의 크기를 어떻게 키워갈지 고민하는 시간을 가져야 합니다. 여러분의 묘비에 “이 사람은 잠재력이 아주 컸으나 능력은 보잘것없었다”라는 문구가 새겨지기를 원하지 않는다면 말입니다.
(* 이 포스트는 2년 전에 짧게 올린 글을 '대폭' 보강한 것입니다)
***********************************
반응형
'[경영] 컨텐츠 > 리더십 및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에 관한 13가지 짧은 생각 (0) | 2010.02.06 |
---|---|
0은 홀수야. 아빤 그것도 몰라? (17) | 2010.01.25 |
비판에 관한 14개의 짧은 이야기 (2) | 2010.01.19 |
생일이 같을 확률은 의외로 크다 (20) | 2010.01.17 |
한때 평범했던 그들이 성공한 까닭은? (8) | 2009.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