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적으로 안면 근육이 마비된 희귀질환인 ‘뫼비우스 증후군’을 앓는 환자들은 기쁘거나 슬퍼도 아무런 표정을 짓지 못한다고 합니다. 그들의 감정을 간접적으로 경험하고 싶다면 투명 테이프를 입 전체에 붙인 다음 ‘개그 콘서트’ 같은 프로그램을 시청하면 됩니다. 십중팔구 다른 때보다 그날 프로가 별로라고 평가할 겁니다.
만약 하루 종일 그렇게 입에 테이프를 붙인 채로 지내야 한다면 어떨까요?. 입에 음식을 넣을 수 없어 배고픈 것은 둘째 치고 몇 분도 채 지나지 않아 행복감이 저하되고 급기야 우울한 상태로 빠지고 말 것이 분명하죠.
우리가 항상 드러내놓고 다니는 얼굴은 상당히 민감한 신체기관 중 하나인데요, 신체에서 얼굴이 차지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데도 불구하고 눈둘레근, 눈썹주름군, 입꼬리내림근 등 40여개의 근육들이 좁은 얼굴에 빽빽하게 들어차 있습니다. 이런 안면 근육들은 뇌에서 수신 받는 감정을 복잡하고 미묘하게 표현하는 역할을 담당하지만 거꾸로 뇌에게 ‘이런 감정 상태에 있다’란 메시지를 송신한다고도 합니다.
심리학자 프리츠 스트랙은 참가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 각각 볼펜 끝을 치아로 물게 하거나 입술로 물게 했습니다. 직접 해보면 알겠지만, 치아만으로 볼펜 끝을 물 때는 어쩔 수 없이 입이 옆으로 벌어져서 웃는 표정되고 입술로만 물 때는 입이 앞으로 나오면서 볼이 홀쭉해지는 뚱한 표정이 됩니다.
참가자들에게 볼펜 끝을 문 채 만화 네 편을 보고 얼마나 재미있는지 평가하라고 했더니, 치아로 볼펜을 문 사람들이 입술로 볼펜을 문 사람들보다 상대적으로 만화를 더 재미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처럼 얼굴 표정이 만들어낸 감정은 뇌에 피드백되고 뇌가 감지한 감정은 판단 메커니즘에 피드백됩니다.
그래서 주름을 없애기 위해 인위적으로 시술하는 보톡스에 주의해야 합니다. 심리학자 데이비드 닐이 참가자들에게 사진 속 인물의 감정을 알아맞히도록 하니 보톡스를 맞은 참가자들의 정답률이 상대적으로 저조했습니다. 우리의 뇌에는 상대방의 감정을 동감하는 ‘거울 뉴런’이 존재하는데요. 아마도 보톡스는 상대방의 감정을 나의 표정으로 복제한 다음 거울 뉴런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훼방꾼 노릇을 하는 듯 합니다.
보톡스를 하든 말든 개인의 자유겠지만, 뫼비우스 증후군 환자들의 고통을 안다면 ‘웃을 수 있어 행복하다’는 사실만은 기억해 두세요. 행복해서 웃는 게 아니라, 웃어서 행복하다는 말이 괜히 있는데 아닙니다. (끝)
제 신간 <시나리오 플래닝>이 아래의 서점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많은 구매를 부탁 드립니다.
- 교보문고 :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14738690
- 알라딘 :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352251662
- 예스24: https://www.yes24.com/Product/Goods/138729619
[다량 구매 혜택]
한번에 10권 이상 구매를 원하신다면, 010-8998-8868로 전화 주시거나, jsyu@infuture.co.kr로 메일 주십시오. 저자 사인과 함께 특별 할인율을 적용해 드리겠습니다. 할인율은 문의 시 알려 드리겠습니다.
유정식의 경영일기 구독하기 : https://infuture.stibee.com/
유정식의 경영일기
경영 컨설턴트 유정식이 드리는 경영 뉴스레터 <유정식의 경영일기>
infuture.stibee.com
'[연재] 시리즈 > 유정식의 경영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더가 바뀌어야 문화가 바뀐다 (0) | 2025.04.18 |
---|---|
‘오차 범위 내에서 접전’이라는 말의 의미 (0) | 2025.04.17 |
'그것은 그냥 이론일 뿐이야'라고 말하지 마세요 (0) | 2025.04.15 |
잘 팔리는 덴 이유가 있겠죠 (3) | 2025.04.14 |
똑같은 시간에 더 많은 일을 하는 방법 (0)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