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정신 부담을 덜기 위해 가벼운 글로 시작하겠습니다. 다음의 글을 읽어보기 바랍니다.
길동이는 자기 친구들을 여러 명 집으로 초대했다. 집에 컵이 부족해서 길동이는 컵을 사러 마트에 갔다.
아주 쉬운 문장이라 상황이 바로 머리에 들어올 겁니다. 그렇다면, 아래의 글은 어떻습니까?
길동이는 친구 10명을 집으로 초대했다. 집에 컵이 7개 뿐이라서 길동이는 3개의 컵을 사러 마트에 갔다.
비슷한 상황의 글이지만, 이번엔 아까보다 글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시간이 조금 더 걸렸을 겁니다. 모자란 컵의 수, 마트에서 사야 하는 컵의 수를 계산하는 데 자신도 모르게 신경을 썼기 때문입니다. 이는 심리학 실험으로 밝혀진 사실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정확한 정보를 줄 때보다 모호한 정보를 줄 때 사람들은 뇌의 에너지를 덜 쓴다고 합니다. 에너지를 덜 쓴다는 말은 그만큼 '쉽게' 정보를 받아들인다는 뜻이죠. 그리고 정확한 정보를 접할 때보다는 모호한 정보를 접할 때 그 내용에 별로 비판적이지 않다는 게 실험 결과로 밝혀졌습니다. '상대방이 내 말을 별다른 비판 없이 받아들인다'를 '설득'의 의미로 본다면, 모호하게 정보를 전달해야 설득하기가 더 쉽다는 게 이 연구의 의미입니다.
좀 의아하지 않습니까? 정보를 자세하게 전달해야 상대방을 설득하기가 용이하다는 것을 상식으로 아는 분들은 고개를 갸웃할 이야기인데요, 왜 그럴까요? 인간은 가능한 한 뇌의 에너지를 '적게' 씀으로써 에너지를 보존하는 쪽으로 진화했기 때문입니다.
설득을 위해서라면 항상 상대방에게 정보를 모호하게 줘야 할까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이 연구에서 우리가 채택해야 할 시사점은 정보를 상세하게 제시할 때와 모호하게 전달할 때를 잘 구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설득하고자 하는 핵심 메시지가 아닌 것을 구체적으로 이야기할 필요는 없다는 점이죠. '정확히 모자란 컵의 수'가 뭐 그리 중요할까요? '컵이 부족해서 마트에 컵을 사러갔다' 정도로 표현해도 충분하죠. 중요한 것은 길동이가 파티를 준비한다는 것 아니겠습니까?
상대방을 설득하거나 이해시켜야 할 핵심 메시지는 가능한 한 구체적으로 전달하고 그렇지 않은 메시지들은 대략적이고 피상적으로 언급하세요. 독자의 두뇌 에너지를 낭비시키지 않고 핵심 메시지에 집중시켜야 여러분 글의 가독성이 올라갑니다.
제가 몇 명의 실험 참가자를 대상으로 몇 퍼센트의 결과를 얻었다는 식으로 연구 논문의 데이터를 상세히 언급하지 않는 건 다 이유가 있습니다. 오늘 일기에 '자전거 탄 남자' 사진(위)을 올린 것도 다 이유가 있습니다.
*참고논문
Mannaioli, G., Ansani, A., Coppola, C., & Lombardi Vallauri, E. (2024). Vagueness as an implicit-encoding persuasive strategy: an experimental approach. Cognitive Processing, 1-23.
유정식의 경영일기 구독하기 : https://infuture.stibee.com/
'[연재] 시리즈 > 유정식의 경영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혁신은 사실 굉장히 위험한 도박입니다 (0) | 2024.10.17 |
---|---|
'작년의 나'가 '지금의 나'를 보며 놀라는 이유 (2) | 2024.10.16 |
무선에 둘러싸여 산다는 공포 (0) | 2024.10.11 |
회의 전에 자료를 배포하지 마세요 (0) | 2024.10.10 |
가능하다면 빚을 빨리 갚고 싶습니까? (1) | 2024.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