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들을 감시할까, 방임할까?   

2011. 8. 30. 10:40
반응형



캐슬린 콜브(Kathryn J. Kolb)와 존 아이엘로(John R. Aiello)는 심리학을 공부하는 대학생 63명에게 기여한 만큼 학점을 주겠다고 약속하고서 이런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그들은 학생들에게 무작위로 임무를 부여했습니다. 과제는 2가지였습니다. 주어진 6자리의 숫자를 컴퓨터에 입력하라는 임무와 무작위로 주어지는 글자가 자음인지 모음인지를 구별하여 컴퓨터에 입력하라는 임무였죠. 각 과제는 8분씩 진행됐습니다.

이 실험은 사무실처럼 꾸며놓은 장소에서 진행됐습니다. 콜브와 아이엘로는 학생들을 두 그룹으로 나눴습니다 첫번째 그룹에게는 컴퓨터를 통해 모든 일거수일투족이 모니터링되고 측정된다는 말을 했고, 두번째 그룹에게는 그런 말을 하지 않았습니다. 그들은 또 감독자 역할을 하는 사람이 입회한 상태와 그렇지 않은 상태(다른 일로 바쁘다고 말하고 실험 장소를 떠난), 이렇게 두 가지 상황에서 이 실험을 진행했죠.

 

정리하면, 실험 조건은 다음과 같이 모두 4가지였습니다.

조건 1 : 컴퓨터로 모니터된다 & 감독자 입회
조건 2 : 컴퓨터로 모니터된다 & 감독자 없음
조건 3 : 컴퓨터로 모니터되지 않는다 & 감독자 입회
조건 4 : 컴퓨터로 모니터되지 않는다 & 감독자 없음

학생들이 주어진 과제를 모두 끝내고 나서 콜브와 아이엘로는 학생들에게 그들이 얼마나 '통제 대상(Locus of control)이었다고' 생각하는지, 또 얼마나 스트레스를 느꼈는지에 관해 1점에서 7점의 척도로 응답하도록 했죠. 그들이 알고 싶었던 것은 '통제와 감시가 사람들에게 얼마나 스트레스를 주는가'하는 것이었고, 특히 '컴퓨터를 통한 통제가 스트레스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였습니다. 

실험 결과는 이랬습니다. 컴퓨터로 모니터링된다는 말을 들은 학생들은 자신이 감독자로부터 통제를 받을 때(즉, 조건 1일 때)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냈습니다. 반면에 컴퓨터로부터 모니터링 되지 않는다는 말을 들은 학생들은 감독자의 통제를 받지 않을 때(즉, 조건 4일 때) 스트레스를 크게 받는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 실험 결과는 컴퓨터로 모니터링될 때 감독자까지 통제와 감시에 가담하기보다는 감독자가 없는 게 낫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그리고 컴퓨터를 통한 모니터링이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니라는 시사점을 줍니다. 컴퓨터로도 감시하고 감독자로도 통제하는, 2중 조치가 더 나쁘다는 점을 짐작케 합니다.

또한, 컴퓨터로 모니터링하지 않는 경우에 감독자가 없는 게 오히려 좋지 않은 결과를 낸다는 사실은 감독자의 존재가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님을 시사합니다. 마치 감독이 퇴장을 당하여 선수들끼리 경기를 꾸려가야 할 때처럼, 감독자가 일하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업무를 수행할지 지침을 주지 않으면 우왕좌왕 하거나 완료한 일에 대해 스스로도 믿음이 가지 않기 때문이겠죠.

직원들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 그들의 행동(심지어 생각까지)을 통제하고 조정해야 한다는 조치를 너무 앞서 나가면(컴퓨터 모니터링 + 감독자), 당장에는 원하는 성과를 얻을지 모르지만 직원들의 심리를 압박하고 스트레스를 주기 때문에 장기적인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말 겁니다. 반대로, 직원들의 창의력을 북돋울 목적으로 그들에게 지나친 자율권을 주거나 방임에 가까운 조치를 취한다면 이것 역시 새로운 문제를 야기하고 맙니다.

직원들을 통제하고 이끄는 데에 중용만큼 적절한 단어도 없을 겁니다. 적절히 통제하고 적절하게 이끌어야지, 효과가 좀 있다고 해서 지나치게 통제하거나 지나치게 방임하는 극단적 조치는 항상 새로운 문제를 일으킵니다.

여러분의 조직은 어떻습니까?. 적어도 '직원 통제'에 있어서 중용을 지키고 있습니까? 지나친 통제나 지나친 방임으로 가고 있지는 않습니까?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