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에 둘러싸여 산다는 공포
언젠가 제 방을 둘러보니 무선 장치가 꽤나 된다는 걸 새삼 깨달았습니다. 마우스와 키보드 뿐만 아니라, 휴대용 스피커, 헤드폰, 이어폰 모두 무선입니다. 무엇보다 와이파이부터 제대로 무선이니까요! 찬찬히 세어보니 무선으로 동작되는 기기 수가 15개 이상이었습니다. '언제 이렇게 많아진 거지?'
이렇게 무선 기기들에 둘러싸인 환경에 살다가 EMP(Electromagnetic Pulse, 전자기 펄스) 폭탄이 떨어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순식간에 모든 블루투스 기기는 먹통이 되고 말 겁니다. 물론 유선 전자기기도 EMP 폭탄에 상당수가 무사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접점’이 있으니 선만 있으면 뭔가 시도해 볼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블루투스 장치들은 물리적 접점 자체가 없기에 수리나 개조가 유선 기기보다 쉽지 않져. 아니, 불가능에 가깝다고 해야 정확합니다.
줄(wire)이 없기에 시각적으로 깔끔한 이점과 선으로 신체의 움직임을 구속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얻는 대신, 우리는 시스템 붕괴의 취약도를 높이고 있는 건 아닐까요? 심각해지지 않을 수 없습니다. 아직 효율이 좋지 않다고 하지만 만약 무선으로 전기를 보낼 수 있는 방법이 가까운 미래에 상용화되고 일상화된다면 좀더 취약한 시스템 조건 하에 놓이겠죠. EMP 폭탄 한 방으로 하루아침에 석기시대로 돌아갈지도 모릅니다.
몇 년 전, KT 서대문 지사의 화재사고로 연희동을 비롯한 일대 지역의 통신이 마비된 적이 있습니다. 휴대폰과 인터넷은 물론이고 집전화까지 먹통이 된, 그 몇 시간 동안의 ‘블랙 아웃’으로 저는 아무것도 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공포심마저 경험했습니다. TV를 틀어봤지만 인터넷 기반의 IPTV였기에 무용지물이었고, 1970년대에 생산된 아날로그 라디오가 ‘일방향’이나마 내게 세상 소식을 들려주는 유일한 도구였죠. 치밀하게 연결된 사회가 얼마나 취약하고 얼마나 위험한지, 저는 그때 절실하게 경험했습니다.
고도의 네트워크 사회가 얼마나 위험할 수 있는지는 운전을 하다가도 체감할 수 있어요. 얼마전에 차를 몰고 가다가 횡단보도 앞에 정차했습니다. 초록 신호등이 켜지고 엑셀레이터를 밟는 순간, 오른쪽에서 누군가가 고개를 푹 숙인 채 횡단보도에 들어서는 게 아닙니까? 저는 황급히 브레이크를 밟았습니다.
한 청년이 스마트폰에서 고개를 떼지 않은 채 저 멀리에서 ‘주변시’로 언뜻 보았을 초록 신호등만 믿고(그리고 본인 발걸음이 그렇게 느릴지 인식하지 못하고) 길을 건너려는 게 분명해 보였습니다. 그 청년은 내 쪽을 슬쩍 보더니 다시 스마트폰으로 고개를 돌린 채 아무렇지 않은 듯 길을 건넜습니다. 이미 보행 신호등이 빨갛게 변한지 오래였는데 말이죠. 다행히 반대 차선의 자동차가 청년을 인지해서 위험한 상황은 벌어지지 않았습니다.
스마트폰 역시 대표적 무선 기기잖습니까! 활동 반경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는 무선의 강점. 그 강점을 누리는 데 따른 ‘비용’은 막대하기 그지없습니다. 이런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무니 무선에 둘러싸인 지금이 무척 공포스러워지는군요.
유정식의 경영일기 구독하기 : https://infuture.stibe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