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카드를 개인용도로 쓰는 이유는?   

2011. 6. 10. 09:43
반응형



여러분에게 모두 20개의 수학문제가 주어졌습니다. 수학이라고 하지만 그리 어려운 문제는 아니니 겁낼 필요는 없습니다. 더해서 10이 되는 숫자를 찾는 문제들이니까요. 정답을 하나 맞히면 50센트를 받을 수 있으니, 20개를 다 맞히면 몇 분만에 10달러라는 짭짤한 돈을 벌 수 있겠죠. 하지만 이 시험문제를 낸 사람은 여러분에게 문제를 푸는 데에 아주 짧은 시간만 준다고 하기에 물리적으로 20개의 문제를 모두 맞힐 수는 없는 노릇입니다.

시험감독자가 '이제 그만'이라고 외치면 여러분은 풀던 시험지를 곧바로 감독자에게 제출해야 합니다. 감독자는 여러분이 맞힌 개수를 세어 그만큼의 돈을 지불하겠죠. 그런데, 감독자는 여러분에게 "풀던 시험지를 버리거나 가방 속에 넣고 나서 얼마나 문제를 많이 맞혔는지 말해 달라"고 이야기합니다. 여러분의 정직성을 믿고서 말입니다. 여러분이 몇 개나 맞혔다고 말하든지 간에 감독자는 그만큼의 돈을 지불할 겁니다.



이번엔 좀 다르게 하기로 했습니다. 문제를 푼 다음에 시험지를 파기하라고 한 후에 감독자에게 정직하게 자신의 정답 개수를 이야기하라고 합니다. 여기까지는 여러분의 정직을 기대하는 앞서의 방식과 같지만, 감독자는 여러분에게 맞힌 개수만큼 돈을 주지 않고 그에 상응하는 포커용 칩을 주겠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칩을 받은 후에 방의 다른 쪽 끝에 앉아있는 감독자에게 가서 칩을 돈으로 교환하라고 일러줍니다.

자, 이렇게 세 가지 방식으로 수학문제를 풀게 하면, 여러분은 얼마나 많은 문제를 풀 수 있을까요? 아니, 얼마나 많은 문제를 풀었다고 '주장'할까요? 감독자에게 시험지를 제출하게 한 첫 번째 경우에 참가자(MIT 대학생)들은 평균 3.5개의 문제를 맞혔습니다. 시험지를 파기하게 한 후에 감독자에게 맞힌 개수를 말하라고 한 두 번째 참가자들은 평균 6.2개의 문제를 맞혔다고 '주장'했습니다. 스스로 자기 점수를 보고하라고 하니까, 평균적으로 2.7개 만큼의 부정행위를 저지른 것입니다. 돈 앞에 뻔뻔해지는 것이 인간이고, 참가자들에게 주는 돈이 정답 하나 당 50센트 정도 밖에 안 되니, 참가자들의 부정행위는 애교로 봐 줄 수 있을지 모릅니다.

시험지를 파기하고 자신의 점수를 말하면 돈 대신 칩을 주겠다고 한 세 번째 참가자들은 어땠을까요? 이들은 좀 심각했습니다. 그들은 평균 9.4개의 문제를 맞혔다고 이야기했으니 말입니다. 실제의 실력인 3.5개보다  5.9개를 더 맞혔다고 주장했던 겁니다. 현금 대신에 칩을 주고 그 칩을 조금만 걸어가서 현금으로 바꾸면 된다고 한 실험조건이 참가자들로 하여금 더 큰 부정행위를 저지르도록 유도한 겁니다. 이렇게 현금 대신 칩을 주겠다는 실험조건에서 시험문제를 치른 참가자들은 모두 450명이었는데 그 중에 24명은 20개의 문제를 다 맞혔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행동경제학자 댄 애리얼리가 수행한 이 실험이 시사하는 바가 무엇일까요? 이 실험은 유감스럽게도 사람들은 기회가 주어지면 부정행위를 저지르려는 습성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금액이 얼마 되지 않으면 '그정도 쯤이야'하면서 스스로를 합리화한다는 것도 드러내죠. 이 실험이 더욱 의미가 있는 이유는 현금 자체가 아니라 그것을 매개하는 장치(이 실험에서는 칩)가 사용되면 부정행위가 훨씬 커진다는 사실입니다. 사무실에서 사람들의 통행이 적은 곳에 1000원이 놓여 있으면 그걸 가져가려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지만, 1000원 짜리 볼펜이 놓여 있으면 그걸 아무렇지 않게 가져가는 것처럼 말입니다.

어제 공항에 가기 위에 지하철을 탔는데 직장인으로 보이는 두 사람의 이야기를 듣게 됐습니다. 워낙 크게 이야기하는 터라 듣지 않을 수 없었죠. 그들은 업무적으로만 사용해야 하는 법인카드를 가지고 개인적인 용도로 썼다는 무용담을 자랑스레 이야기하더군요. 고객과 식사했다고 보고했지만 실은 친한 친구끼리 평소에 먹을 엄두가 나지 않은 맛있는 요리를 먹었다고 합니다. 그 이야기를 들으니 조금 씁쓸해지더군요. 만약 두 사람의 이야기를 자신들의 CEO가 듣는다면 어떤 기분일지 상상해보니 그리 유쾌하지 않을 듯 했습니다.

그 두 사람은 법인카드를 개인적인 용도로 쓰는 건 어느 정도 '눈 감아 준다'는 암묵적인 동의가 회사와 직원 사이에 이미 성립되었다고 생각할지 모릅니다. 또한 자신이 열심히 일한 만큼 충분한 보상을 회사로부터 받지 못하니 법인카드를 개인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보상 받아야겠다는 심리가 작용했을지도 모르는 일이죠. 회사 측에서도 연봉을 적게 주는 미안함을 법인카드 사용이라는 작은 혜택으로 '위로'하려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이 글을 쓰는 목적이 법인카드를 개인용도로 쓴 두 사람을 비난하기 위함은 아닙니다. 애리얼리의 실험에서 봤듯이, 현금이 아니라 '법인카드'라는 현금 매개체가 개입되면 현금을 주고 받을 때보다 큰 부정행위를 조장할 수 있음을 말하고 싶어서입니다. 법인카드가 현금 사용보다는 도덕적 부담을 훨씬 덜 느끼게 만든다는 것이죠.

신용카드는 시차를 가지고 돈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현금을 바로 쓸 때보다는 많은 돈을 지출하도록 만든다는 사실은 여러분도 알 겁니다. 더욱이 카드가 내것이 아니라 법인(회사)의 것이라면 더 손쉽게 더 많은 금액을 지출하고 싶은 욕구가 생겨날 겁니다. 물론 회사 측에서 거래명세표를 보고 정당한 지출인지 아닌지를 사후 검증한다거나, 사전에 지출이 승인된 건에 대해서만 결제를 해주는 방식을 통해서 잘못된 법인카드의 사용을 막으려 하지만, 한계가 있습니다. 여러 전표 중에 슬쩍 끼워 넣으면 발견해내기 어렵죠.

법인카드처럼 현금을 매개하거나 대신하는 장치가 직원들을 보상하는 방편으로 쓰일 때 부정행위가 발생할 수 있음을 우리는 경계해야 합니다. 스톡옵션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스톡옵션은 그것을 높은 가격에 현금과 교환하려고 회사의 단기 성과를 인위적으로 혹은 회계 조작으로 끌어올리려는 의도를 강화시키는, 잘못된 보상 방법일지 모릅니다. 개인의 인사평가 점수에 따라 성과급을 결정하는 일반적인 보상제도도 어떻게 보면 가능한 한 높은 점수를 얻으려고 실제보다 자신을 부풀리도록 유도하는 장치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점수가 돈을 매개하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법인카드를 쓰지 말고 개인평가를 하지 말란 소리냐? 다른 방법이 있느냐?"는 반문이 제기되겠네요. 이 글에서는 이 질문에 답하지 않겠습니다. 돈을 매개하는 장치가 중간에 설정되고 그 장치의 종류가 중첩될 때 부정행위가 많아질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 그리고 그런 위험을 사전에 인지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만 이야기하겠습니다. 이렇게 인지하는 것만으로도 불필요한(정말로 회사에 도움이 안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법인카드를 개인적으로 유용하는 것 아니냐?'는 불필요한 상호 불신을 조금은 줄이는 묘안을 여러분 스스로 찾기를 기대하면서 말입니다.

(*참고도서 : '상식 밖의 경제학')

inFuture 아이폰 앱 다운로드       inFuture 안드로이드 앱 다운로드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