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을 믿어야 할까, 말아야 할까?   

2009. 5. 12. 16:32
반응형

요새 경제의 불확실성 때문에 시나리오 플래닝이나 시나리오 경영에 관심이 높습니다. 위기경영의 일환으로 시나리오 플래닝을 도입하겠다는 기업도 많아졌지요. 헌데 시나리오 플래닝을 긴축경영이나 컨틴전시 플래닝으로 잘못 이해하는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시나리오 플래닝의 개념을 올바르게 전달하기 위해 간략한 예시로 설명 드리고자 합니다.

프랑스 수학자 중에 파스칼이란 사람이 있습니다. 이 사람은 뛰어난 수학적 업적을 남긴 사람인데요, 그는 의사결정을 위해 시나리오 플래닝을 시도한 최초의 유명인입니다. 

수학과 과학에 천부적인 능력을 보였지만, 사생활은 문란하고 방탕했다고 합니다. 천재적인 능력이 방탕한 생활 때문에 제대로 발현되지 못한다고 생각한 친구들이 파스칼에게 교회를 다니라고 여러 차례 충고했다고 합니다. 교회를 다니면 파스칼이 성실하게 생활할 거라 기대했기 때문이죠.

친구들의 조언을 듣고 파스칼은 고민을 했습니다. ‘신을 믿어야 하나, 말아야 하나?’ 그는 수학의 천재답게 논리적인 방법으로 이 고민을 해결했습니다. 그가 사용한 방법이 바로 시나리오 플래닝이었습니다.

파스칼이 택할 수 있는 ‘전략’은 2가지입니다. ‘신을 믿는’ 전략과 ‘신을 믿지 않는’ 전략이죠. 그가 둘 중 무엇을 택할 것인가의 문제는 그를 둘러싼 불확실성을 논하지 않고서는 해결되지 않습니다. 그 불확실성이란 바로 ‘신이 존재하는가’ 아니면 ‘신은 존재하지 않는가’ 이었습니다. 

다시 말해, 신의 존재 여부가 그가 믿음을 선택하느냐 마느냐에 딸린 불확실성이었죠. 파스칼은 이러한 불확실성에 따라 2개의 시나리오를 수립했습니다. 첫 번째는 '신이 존재'하는 시나리오고, 두 번째는 '신이 존재하지 않는' 시나리오입니다.

파스칼은 이러한 시나리오 하에서 어떤 전략을 선택해야 하는지 따져보기로 했습니다. 그는 다음과 같은 표를 그려서 시나리오와 전략 간의 적합도를 평가하고자 했습니다.

 
 시나리오 1
 "신이 존재한다"
 시나리오 2
 "신은 없다"
 신을 믿는다    
 신을 믿지 않는다    

파스칼은 이렇게 생각하면서 평가를 내렸습니다. "먼저, 신이 존재하는 시나리오에서 신을 믿는다면 나에게 주어지는 가치는 얼마일까? 그 가치는 천국에서 느끼는 기쁨과 행복이니까 무한대(∞)이겠지? 반대로, 신을 믿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신을 부정한 죄로 지옥에서 모진 형벌을 끊임없이 받아야 하니까 그 가치는 마이너스 무한대(-∞)일거야”

그는 두 번째 시나리오인 ‘신은 없다’에 대해서도 생각했습니다. “이 시나리오에서 내가 신을 믿는다면 난 무슨 가치를 얻게 될까? 존재하지도 않는 신을 믿느라 교회를 다녀야 하는 '생고생'을 했으므로 그 가치는 마이너스일까? 아니면 교회를 다니면서 마음의 안식과 평온을 얻었으니 플러스일까? 친구들이 교회 다니는 게 도움이 된다고 하나같이 말하니 믿어보지, 뭐. 100 정도의 가치라고 가정해 보자. 반대로, 신을 믿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난 아무것도 얻거나 잃을 게 없겠지. 그러니까 그때의 가치는 0이야.” 

그는 평가를 끝내고 다음과 같이 표를 완성했습니다.

 
 시나리오 1
 "신이 존재한다"
 시나리오 2
 "신은 없다"
   신을 믿는다                 100
   신을 믿지 않는다          -          0

파스칼은 이 표를 보면서 어떤 전략을 택할지 살펴봤는데요, 여러분도 아시겠지만, ‘신을 믿는’ 전략이 최적이자 최고의 전략입니다. 파스칼은 이렇게 판단해서 '신이 존재하든 그렇지 않든 나는 신을 믿겠다'라고 친구들에게 선언한다. 이 유명한 일화를 '파스칼의 추론'이라고 합니다.

파스칼의 일화는 여러분이 지금까지 학습한 시나리오 플래닝의 과정을 압축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불확실한 상황에서 최적의 전략을 선택해야 할 때 유용한 방법이 시나리오 플래닝이란 것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 추신 : 이 글은 시나리오 플래닝의 이해를 목적으로 쓰였습니다. 무신론이나 기독교(신,구교 모두)와는 관련이 없음을 양지 바랍니다.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