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직원이 일반직원보다 낮게 평가받는 이유?   

2013. 9. 30. 09:00
반응형


성과가 수치로 정확히 측정되는 조건에서 어떤 직원의 성과 수치가 지난 몇 개월 동안 하락 추세에 있다고 가정해보죠.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직원의 현재 성과는 절대적으로 볼 때 '우수'한 수준에 해당됩니다. 그렇다면 여러분은 그 직원이 '우수'한 성과를 냈다고 평가할까요? 반대로, 또 다른 직원의 성과가 몇 개월 동안 상승 추세에 있는데 절대적으로 보면 아직은 '보통'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이 직원에 대해서도 여러분은 '보통' 수준의 성과를 냈다고 평가하게 될까요?


눈치 빠른 분들은 이 질문의 의도를 간파했을 것 같은데요, 아마도 여러분이 실제 상황에 처한다면, 성과의 절대 수준과 상관없이 하락 추세에 있는 직원은 평가절하하고 상승 추세에 있는 직원은 평가절상할 가능성이 큽니다. 뉴욕 대학교의 네이선 페티트(Nathan C. Pettit)와 동료 연구자들이 일련의 실험을 통해 이를 뒷받침합니다.





페티트는 실험 참가자들에게 'Lee'라는 가상 인물이 10명으로 이루어진 그룹 내에서 순위가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참가자들 중 일부는 Lee가 6위였다가 4위로 올라섰다는 이야기를 들었고, 다른 참가자들은 Lee가 2위였다가 4위로 내려 앉았다는 말을 들었죠. 대조군에 속한 참가자들은 Lee가 4위를 계속 유지 중이라는 정보를 접했습니다. 그런 다음, 참가자들은 공히 Lee의 현재 상태가 그룹 내 다른 멤버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지 혹은 낮은지를 9점 척도로 평가했습니다.


결과적으로 동일하게 4위가 되었으니 Lee에 대한 평가는 두 그룹 모두 비슷하게 나와야겠죠. 그러나, Lee의 순위가 상승했다는 말을 들은 참가자들은 대조군에 속한 참가자들에 비해 Lee의 상대적 위치를 더 높게 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반대로, Lee의 순위가 하락했다는 이야기를 접한 참가자들은 대조군보다 Lee의 상대적 위치를 더 낮게 평가했죠.


후속 실험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었습니다. 가상의 대학인 'X대학'이 미국 내에서 2011년에 15번째로 우수한 대학이었지만 2012년에는 11위로 뛰어올랐다는 정보를 참가자들 일부에게 주고 여타 대학에 비해 X대학의 위상을 평가하도록 했습니다. 다른 참가자들은 7위였다가 11위로 떨어졌다는 이야기를 들었죠. 예상했던 대로 15위에서 11위로 올랐다는 말을 들은 참가자들은 7위였다가 11위로 떨어졌다는 말을 들은 참가자들에 비해 X대학의 상대적 위상을 더 높게 평가했습니다.


럭셔리 시계인 태그 호이어(TAG Heuer)의 순위가 변화하는 상황을 가정케 하고 지불하고자 하는 금액을 쓰도록 하는 실험에서도 마찬가지의 결과가 나왔습니다. '6위에서 5위로, 다시 4위'로 뛰어 올랐다는 말을 들은 참가자들은 '2위-->3위-->4위'로 내려 앉았다는 말을 들은 참가자들에 비해 두 배나 더 많은 금액을 지불하고자 했습니다(1484달러 대 737달러). 뒤에 이어진 나머지 실험에서도 결과는 동일했죠.


페티드의 연구 결과는 어떤 사람이나 대상의 순위가 하락 추세에 있을 때는 실제 평가 받아야 마땅한 수준보다 낮게 평가 받고 상승 추세에 있을 때는 높게 평가 받는다는 점을 명확하게 증명합니다. 이는 최근에 성과가 주춤하거나 하락한 직원이 응당 받아야 할 평가점수를 덜 받게 될 가능성이 큼을 시사합니다. 절대적으로 보면 성과가 여전히 우수한데도 평범한 직원과 동일한 평가점수를 받게 되거나 어떨 때는 더 낮은 평가를 받는 상황도 생길 수도 있죠. 그 평범한 직원의 성과가 상승 추세에 있다면 말입니다. 


불합리한 것이 사실이지만, 이는 추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인간의 심리적 한계에서 기인합니다. 혹시 여러분의 조직에서는 이런 일이 일어나고 있지 않나요? 여러분 자신이 이런 심리적 한계의 피해자(혹은 수혜자)가 된 적은 없었나요?



(*참고논문)

Pettit, N. C., Sivanathan, N., Gladstone, E., & Marr, J. C. (2013). Rising Stars and Sinking Ships Consequences of Status Momentum. Psychological science, 24(8), 1579-1584.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