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안 들이고 직원들 의사소통 늘리기   

2012. 8. 13. 09:00
반응형


조금 규모가 있는 동물원에 가보면 가느다란 다리를 가진 주홍 빛깔의 새들이 음악에 맞춰 군무를 추듯이 이리저리로 몰려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바로 홍학(Flamingo)입니다. 홍학은 조류 중에서 사회성이 높은 동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군무를 추는 듯한 행동은 음악에 반응한다기보다는 아마도 무리에서 이탈하지 않으려는 본능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홍학이 사회적인 동물이라는 또 하나의 단적인 이유는 번식율이 무리의 규모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입니다. 홍학은 무리의 규모가 20마리 미만일 때는 번식하지 않으려는 습성을 지녔습니다. 20~30마리는 되어야 그때부터 활발하게 번식하는 경향이 있죠.1) 그래서 동물원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홍학을 관리 보존해야 하는 사육사들은 무리를 일정 규모로 유지하기 위해 애를 씁니다. 호주 시드니의 타롱가 공원 동물원은 홍학 숫자가 적어 서로 짝짓기를 하려고 하지 않자 커다란 거울로 우리를 둘러싸서 개체 수가 많아 보이도록 꾀를 쓰기도 했습니다. 거울은 효과가 있었다고 합니다. 2)





홍학의 이런 습성은 '앨리 효과(Allee Effect)'로 설명됩니다. 앨리 효과는 생태학자인 월더 앨리(Warder C. Allee)가 어항 속 금붕어들이 개체 수가 많을수록 더 빨리 성장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데에서 유래합니다. 앨리는 그 연구를 통해 단독으로 생활하는 것보다 군집을 이루는 것이 개체의 생존율을 높이는 데 중요하고 협력이 사회의 전반적인 진화에 핵심적일 거라는 결론에 이릅니다. 물론 무리를 이루면 부정적인 효과도 발생합니다. 서식지의 밀도가 증가하면 개체에게 돌아가는 먹이의 양이 줄어들고 그 때문에 먹이를 놓고 무리 내에서 싸움이 벌어집니다. 또한 짝짓기 대상을 가지고도 과도한 경쟁(특히 수컷끼리)이 야기되죠. 


하지만 무리가 규모가 작아도 문제는 있습니다. 짝짓기를 할 대상이 적어 번식력이 떨어지는 문제와 천적의 공격을 공동으로 막아내지 못한다는 문제는 매우 심각하죠. 앨리 효과는 무리의 규모가 어느 수준 이상을 유지해야 각 개체의 건강과 번식 뿐만 아니라 무리 전체의 안녕을 기대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집단의 안정과 발전을 위해 '임계 밀도'가 요구된다는 앨리 효과가 기업 조직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일까요? 쉽게 생각할 수 있는 시사점은 업무의 특성에 따라 다르긴 하겠지만 개인보다는 팀이 일을 더 잘 수행해 낸다는 것이겠죠. 무리가 클수록 짝짓기 대상이 풍부해진다는 효과는 팀원들이 제시하는 다양한 아이디어들의 화학적 융합으로 비유될 수 있고, 포식자들의 위협을 막아내는 협력의 이점은 조직 내부에서의 정치적 역량과 외부 경쟁자들의 공격에 대한 대응력으로 해석할 수 있지 않을까요?


하지만 사람들을 끌어모아 팀을 이루게 하는 것이 능사는 아니겠죠. 핵심은 집단의 규모가 아니라 '상호작용'의 크기입니다. 집단의 규모는 활발한 상호작용을 위한 필요조건 중 하나일 뿐 충분조건은 아닙니다. 협력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개체 자신과 집단 전체의 안정과 발전을 도모한다는 것이 앨리 효과의 진짜 의미입니다. 앨리 효과를 조직 내에서 극대화하려 한다면 어떻게 해야 직원들의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의 기회를 점화시키고 그 수준을 끌어올릴 수 있는지를 고민해야 합니다.


앨리 효과를 위한 한 가지 팁은 직원들의 동선이 가능한 한 여러 사람을 거쳐 가도록 사무실의 레이아웃을 설계하는 것입니다. 또한 다른 직원과 눈을 맞출 수 있도록 파티션의 높이를 낮추거나 없애는 것도 필요합니다. 비록 별것 아닌 듯 보이지만, 그리고 이런 조건 이외에 다른 조건들(예컨대 합리적인 관리자)도 만족해야겠지만, 인간의 심리가 물리적인 환경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 받는다는 사실에서 볼 때 이런 물리적인 환경이 언어적이거나 비언어적인 상호작용을 유도하고 축적시켜 어느 순간 창조적인 업무 환경의 '임계 밀도'에 이르도록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충분히 고려할 만한 조치입니다.


홍학들이 기분 좋게 짝짓기하도록 우리 주변에 커다란 거울을 둘렀듯이, 직원들이 창조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도록 사무실의 물리적 환경을 개선해보면 어떨까요? 그렇다고 인테리어 비용을 들일 필요는 없습니다. 직원들 사이의 협력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을 막는 시설이나 물건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그것을 없애기만 하면 되니까요? 정수기나 복사기의 위치를 바꾸는 것도 도움이 되겠네요. 적어도 출근하여 퇴근할 때까지 다른 부서 사람과 눈을 맞추거나 이야기를 나누기 힘든, 그런 사무실 구조는 아니길 바랍니다.



(*참고문헌)


1) Elizabeth Franke Stevens(2005), Flamingo breeding: The role of group displays, Zoo Biology, Vol. 10(1)


2) 렌 피셔, <재난은 몰래 오지 않는다>, 웅진지식하우스, 2012


반응형

  
,